잠룡 없어서… 김종인, 노무현·백종원 소환했나

잠룡 없어서… 김종인, 노무현·백종원 소환했나

이근홍 기자
입력 2020-06-23 23:44
수정 2020-06-24 0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권주자상 간접 제시… ‘꼰대’ 무관 강조

정쟁 떠나 자기 콘텐츠 필요성 우회 지적
“대선까지 권력 연장용 자기 정치” 분석도
이미지 확대
김종인(왼쪽 두 번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원희룡(왼쪽 세 번째) 제주지사가 23일 국회에서 열린 ‘사회안전망 4.0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다른 참석자들과 손을 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최근 원 지사는 ‘보수 유전자’를 강조하며 김 위원장을 겨냥해 ‘용병’이라고 표현하는 등 각을 세웠지만 이날은 깍듯한 모습을 보였다. 왼쪽부터 서상목 사회안전망4.0대표, 김 위원장, 원 지사, 통합당 서정숙 의원.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김종인(왼쪽 두 번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원희룡(왼쪽 세 번째) 제주지사가 23일 국회에서 열린 ‘사회안전망 4.0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다른 참석자들과 손을 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최근 원 지사는 ‘보수 유전자’를 강조하며 김 위원장을 겨냥해 ‘용병’이라고 표현하는 등 각을 세웠지만 이날은 깍듯한 모습을 보였다. 왼쪽부터 서상목 사회안전망4.0대표, 김 위원장, 원 지사, 통합당 서정숙 의원.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킹메이커’를 자처한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최근 야권 대권주자를 논하는 자리에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과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를 잇달아 언급한 사실이 알려져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꼰대보수’와 거리가 멀면서도 자신의 콘텐츠와 높은 인지도를 가진 인물이 필요하다는 취지이지만, 일각에서는 구체성이 떨어지는 시선끌기용 발언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19일 당 비례대표 초선 의원들과의 오찬에서 “(대권주자로) 백종원씨 같은 분은 어떤가. 남녀노소 모두 좋아하는 분인 것 같더라”고 했다. 22일 출입기자단 오찬에서는 현재 통합당엔 대권주자로 내세울 사람이 없다며 2002년 노 전 대통령의 새천년민주당(더불어민주당 전신) 대선 후보 경선 과정을 소개했다.

백 대표는 23일 김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꿈도 꿔본 적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럼에도 김 위원장이 이들을 소환한 건 눈에 띄는 잠룡이 없는 상황에 자신이 생각하는 ‘대권주자상’을 간접 제시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김 위원장은 국민적 신뢰를 얻고 있는 백 대표 등을 앞세워 야권주자는 ‘꼰대’ 이미지와 무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야권 잠룡 중 상당수는 지나치게 보수색이 짙어 확장력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비례대표 오찬에 참석했던 조수진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백 대표를 언급한 건) 대선주자 등 유력 정치인은 그만큼 혐오도가 적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로 이해했다”고 강조했다.

대권주자는 정쟁에 몰두할 게 아니라 자신만의 콘텐츠를 갖춰야 한다는 점도 에둘러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 노 전 대통령은 지역주의 타파에 수차례 도전하며 ‘바보 노무현’이라는 애칭을 얻었고, 백 대표는 골목상권 살리기에 앞장섰다. 김 위원장은 ‘새얼굴’ 영입에 대해선 부정적 인식을 명확히 했다. 김 위원장은 “전혀 모르는 사람이 나타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선 임기가 내년 4월까지인 김 위원장이 2022년 3월 대선까지 권력을 연장하기 위해 ‘김종인=대선’이라는 공식을 반복 노출하며 자기 정치를 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임기대로라면 김 위원장이 다음 대선에 실질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기는 힘들다. 박상병 인하대 정책대학원 초빙교수는 “1년 임기인 김 위원장이 2년 뒤 대선 구상을 밝히는 건 ‘내가 대선까지 당을 끌고 가면 이길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근홍 기자 lkh2011@seoul.co.kr
2020-06-2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