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켜 보겠다”…홍준표, 문 대통령 퇴임 이후 우려한 까닭

“지켜 보겠다”…홍준표, 문 대통령 퇴임 이후 우려한 까닭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1-04-17 15:19
수정 2021-04-17 15: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홍준표 무소속 의원(왼쪽)과 문재인 대통령. 뉴스1
홍준표 무소속 의원(왼쪽)과 문재인 대통령. 뉴스1
홍준표 무소속 의원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면을 요구하며 문 대통령의 퇴임 이후를 우려했다.

17일 홍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시간이 지나면 텅비는 모래시계처럼 권력은 영원하지 않다”며 “레임덕을 막을려고 몸부림 치면 칠수록 권력은 더 깊은 수렁으로 빠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섭리로 받아 들이시고 마무리 국민통합 국정에만 전념하시라”고 조언하며, “자신의 업보로 될 두 전직 대통령도 이젠 사면 하시고 마지막으로 늦었지만 화해와 화합의 국정을 펼치시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홍 의원은 “지켜 보겠다”며 글을 마쳤다.

“대한민국 대통령 잔혹사는 끝임없이 계속”홍 의원은 전날에도 내년 대선을 앞두고 임기 말을 향해 가는 문 대통령을 언급했다.

홍 의원은 페이스북에 “대한민국 대통령 잔혹사는 끝임없이 계속 되고 있다”며 역대 대통령의 사례를 들었다.

이어 홍 의원은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4.19 혁명으로 하야했고, 윤보선 전 대통령은 5.16 쿠테타로 하야를 당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피격돼 서거했고 최규하 전 대통령은 신군부에 쫒겨 나갔다.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은 군사반란등으로 사형선고까지 받았고, YS(김영삼 전대통령)는 IMF사태로 퇴임후 곤욕을 치뤘다”고 언급했다.

또 “노무현 전 대통령은 비극적인 자진(自盡)을 했고,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은 문 정권의 정치보복으로 아직도 영어의 몸이 돼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홍 의원은 “문 대통령도 이제 퇴임을 앞두고 있다. 다음 정권에도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장이 있을까”라고 물음을 던졌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