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해자 측 제공
주한 벨기에 대사의 아내 A(왼쪽)씨가 옷가게 직원의 뺨을 때리는 장면.
피해자 측 제공
피해자 측 제공
주한 벨기에 대사관은 22일 홈페이지와 페이스북에 ‘벨기에 대사부인 사건 관련 보도자료’를 영문과 국문으로 발표했다.
지난 9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의 한 의류매장에서 피터 레스쿠이에 주한 벨기에 대사 부인의 폭행이 발생한 지 13일 만이다.
대사관 측은 “주한 벨기에 대사는 지난 4월 9일 벌어진 그의 부인에 관련된 사건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하며, 그의 부인을 대신하여 피해자에게 사과 드린다”면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그녀가 한 행동은 용납될 수 없다”고 사과했다.
대사 부인 A(63)씨는 사과문 발표 전까지 피해자 측에 어떠한 사과도 하지 않았으며, 경찰 조사 요구에도 응하지 않아 논란이 가중됐다.

주한벨기에대사관 페이스북 페이지
피터 레스쿠이에 주한 벨기에 대사 부인 폭행 사건 관련 대사관 측 사과문.
주한벨기에대사관 페이스북 페이지
주한벨기에대사관 페이스북 페이지
사과문은 영문과 이를 한 문장씩 번역한 국문으로 발표됐는데, 국문의 경우 통상 사과문에 쓰이는 경어체 대신 ‘~한다’는 평어체로 쓰였다.
한국 주재 대사관이 발표한 보도자료라서 그럴 수 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주한 벨기에 대사관이 과거 소셜미디어를 통해 소통해 온 방식을 보면 이날 사과문은 유독 딱딱하게 느껴진다.
불과 이틀 전인 20일 대사관 측은 페이스북 등을 통해 벨기에 작가 페요의 만화 ‘스머프’를 소개하며 친근한 경어체를 능숙하게 구사했기 때문이다.

주한벨기에대사관 페이스북 페이지
지난 13일 벨기에 음악 축제 ‘투모로우랜드’를 소개하며 “EDM음악 좋아하세요? 그렇다면 @tomorrowland를 꼭 한번 살펴보세요!”라고 올렸다.
물론 대사관 내에서도 정치·문화 등 각 분야를 맡은 담당자가 각각 달라 소통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이겠지만, 논란이 커져 엄중한 상황에서 뒤늦게 나온 사과문이 문체마저 딱딱한 평어체로 쓰였다는 점은 또 다른 논란을 낳게 됐다.
딱딱한 사과문과 더불어 정작 폭행 당사자인 대사 부인을 대신해 레스쿠이에 대사가 ‘대리 사과’한 데 대해 여론은 진정성이 부족하다며 분노하고 있다.
대사관 측은 대사 부인이 현재 뇌졸중으로 병원에 입원한 상태라 경찰 조사에 임할 수 없다고 밝혔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