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금태섭 새로운선택 창당준비위원장,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서울신문 DB·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왼쪽부터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금태섭 새로운선택 창당준비위원장,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서울신문 DB·연합뉴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금태섭 새로운선택 창당준비위원장이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10일 회동했다. 김 위원장은 “두 사람이 지향하는 바가 같다. 함께 할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22대 총선을 앞두고 제 3지대에 ‘빅 텐트’가 마련될지 관심이 쏠린다.
김 위원장은 이날 이 전 대표, 금 위원장과 광화문에서 오찬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렇게 밝혔다. 김 위원장은 “그 사람들이 새로운 정치 세력을 만들겠다고 하는데 두 사람이 지향하는 바가 똑같잖나”라며 “따로따로 할 것 없이 서로 협업을 해서 하나로 가보자는 취지의 만남”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내가 보기에는 별로 이견이 없다”고도 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찬에 대해 “두 사람이 서로 만나보고 싶다고 해서 내가 자리를 만들어 줬다”며 “둘은 함께 할 수밖에 없다. 둘다 합리적인 사람들이기 때문이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국민의힘에 대해 “강서 선거 결과가 무엇을 의미한다는 걸 알아야 되는데 그 자체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안 되고 있다”며 “혁신위에서 나오는 게 현실적으로 맞는 얘기인가도 냉정하게 생각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포시의 서울 편입에 대해서는 “국민의 일상생활과 별로 아무 관계도 없는 얘기를 하고 있다”며 “자기 멋대로 판단을 해서 이렇게 하면 혹시라도 지지도가 올라갈까, 선거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그런 식의 운영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거를 바꾸려면 방법이 없다. 똑같은 사람이 계속해서 가면 변화가 생길 수 있겠나”며 “변화를 결정해줘야 할 사람은 일반 국민”이라고 덧붙였다.
이 전 대표가 신당 창당을 시사한 가운데 일각의 신당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 대해 김 위원장은 “2016년에 민주당 비대위 대표를 할 때 언론이나 정치평론가가 ‘80석도 안 된다’고 했다. 그 때 내가 민주당을 제1당을 만들어놨다”며 “아직 해보지도 않았는데 되느니, 안 되느니 그런 얘기를 할 게 없다”고 했다. 이어 “과거 제3당이 실패한 원인은 공천에서 떨어지는 사람들끼리 모여서 당을 만들었기 때문”이라며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식으로 그렇게 잘 안 되거나 그렇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민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