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웅 “윤-한 갈등은 ‘다 진 게임’…김건희 여사 출국도 해법”

김웅 “윤-한 갈등은 ‘다 진 게임’…김건희 여사 출국도 해법”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4-01-24 12:14
수정 2024-01-24 12: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웅 국민의힘 의원이 2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인터뷰 하고 있다. 김현정의 뉴스쇼 캡처
김웅 국민의힘 의원이 2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인터뷰 하고 있다. 김현정의 뉴스쇼 캡처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김웅 국민의힘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극적인 회동으로 당정갈등이 봉합 수순에 들어갔다는 정치권 안팎의 평가에 대해 “둘 다 진 게임”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현재의 당정 관계를 ‘오월동주’(吳越同舟·서로 미워하면서도 어려운 상황에서 단결하는 것)라고 정의한 뒤 김건희 여사가 사저나 외국으로 가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2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전날 충남 서천특화시장 화재 현장에서 한 위원장이 윤 대통령을 향해 90도 폴더 인사를 한 것과 관련해 “과거 윤 대통령 후보와 이준석 당 대표 간 화해 모습이 그대로 겹쳐 보였다”며 “그때도 (서로) 안고 나서 차를 같이 타고 화재 현장으로 갔지만 (윤 대통령이 권성동 의원에게 보낸 메시지인) ‘체리따봉’으로 일종의 칼을 갈고 있었던 게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어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사과 문제는 부차적이고 중요한 건 공천 문제가 남아있다는 것”이라며 “윤심 공천인지, 한심 공천인지 아직 주도권을 누가 쥐느냐가 남아 있다. 계속 봉합이 유지되는 건 쉽지 않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한 위원장에 대해 “당이 주도권을 잡기 위해 당정 간의 수평적 관계,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할 수 있을 정도의 배짱은 부족하다”고 평가했고, 윤 대통령에 대해서는 “(한 위원장을) 쫓아내고 싶었지만 병력이 없고 실탄이 없다. 몰아내자고 나설 의원을 찾지 못했던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런 탓에 두 사람 사이에 ‘오월동주’와 같은 불편한 동거 상황이 만들어졌다고 진단했다.

이미지 확대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충남 서천군 서천읍 서천특화시장 화재 현장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만나 허리 숙여 인사하고 있다. 2024.1.23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충남 서천군 서천읍 서천특화시장 화재 현장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만나 허리 숙여 인사하고 있다. 2024.1.23 연합뉴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가 제기한 두 사람의 ‘약속 대련’ 논란에 대해서는 “이틀간의 소동을 통해 가장 크게 진 건 우리 당(국민의힘)”이라며 “우리 당의 경우 ‘이재명 총선’으로 가야 하는데 이번 소동을 통해서 여사님 총선이 돼버릴 수가 있다. 지금 사람들의 관심사가 이쪽으로 넘어와 버리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김 의원은 명품백 수수 의혹이 총선에 끼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김 여사가 사저 행이나 외국으로 나가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권력자가 불공정한 일을 했다고 생각해 국민이 분노를 느끼고 있을 땐 불쌍하게 보이는 것 이외에 방법은 없다”며 “일반인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센 방법을 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저로 가는 거나, 잠시 외국에 나가 있겠다 정도가 나오면 이 국면이 뒤집어진다”고 주장했다.

그는 ‘김 여사가 받은 명품백은 국가기록물로 지정돼 반납이 불가능하다’는 전날 이철규 의원의 주장에 대해 “말이 안 되는 소리”라며 “그럼 갤러리가 명품관은 박물관이냐”라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침묵도 사과’라고 이야기한다”며 “그럼 일본도 사과하는 것이냐. 개그콘서트가 불쌍해 보인다”고 꼬집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