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최고위 사퇴 않기로 입장 바꾼 듯
선출직 5명 중 4명 사퇴해야 비대위
유지 땐 주요 의결권은 친윤 우세

장동혁 의원과 대화하는 한동훈 대표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며 장동혁 의원과 대화하고 있다. 2024.12.12 연합뉴스
14일 윤석열 대통령 ‘2차 탄핵안’이 가결되면 집권여당인 국민의힘도 크게 요동칠 것으로 전망된다. 친한(친한동훈)계 장동혁 최고위원의 사퇴 여부에 ‘한동훈 지도부’의 운명이 달렸다는 얘기도 나온다.
친한계 신지호 국민의힘 전략부총장은 13일 통화에서 장 최고위원이 “한 대표와 함께 간다”고 말했다며, 사퇴 의사가 없다고 전했다. 앞서 장 최고위원은 지난 7일 의원총회에서 “탄핵안이 통과되면 최고위원직에서 사퇴하겠다”고 했지만 전날에는 “상황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장 최고위원의 입장 번복을 두고 정치권에선 한 대표의 정국 시나리오가 바뀐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당 안팎에서는 탄핵 가결 후 여당 대표로서 정치적 책임을 피할 수 없는 한 대표가 선제적으로 지도부를 허물 가능성도 거론된다.
친윤(친윤석열)계 한 의원은 “장 최고위원이 사퇴 안 한다고 하면 방법이 있나”라며 “당원들을 믿어볼 수밖에 없다. 대통령을 탄핵시킨 당 지도부를 당원들이 가만히 두겠나”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에 따르면 선출직 최고위원 5명 가운데 4명이 사퇴하면 최고위는 해산되고 비대위 체제로 전환된다. 현재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중 3명(김재원·인요한·김민전)은 친윤계, 2명(장동혁·진종오)은 친한계로 분류된다. 이 구도에 따르면 친윤계 3명에 1명만 추가로 사퇴하면 한동훈 체제는 종료된다.
현재 최고위 구도는 친윤(권성동·김민전·인요한·김재원·김상훈) 5표 대 친한(한동훈·장동혁·진종오·김종혁) 4표로 평가된다. 이 구도는 추후 최고위에서 윤 대통령 제명이나 주요 사안을 의결할 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 대표는 친한 몫을 늘리기 위해 친윤계 정점식 전 정책위의장을 김상훈 정책위의장으로 교체했으나 탄핵을 두고는 김 의장이 친윤계 의원들과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 의장은 라디오에서 “최고위원 중에 탄핵이 가결이 됐을 경우에 직을 내려놓을 분들이 더러 계실 것 같다. 그러면 당 지도부는 와해되고 비대위 체제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2024-12-1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