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지 정치’ 움직임…대선 주자 내공 쌓기?
‘먹고 사는 문제’ 해결을 새 지향점으로 삼아 변신을 모색중인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의원이 외교 행보에도 본격 시동을 걸고 나섰다.’메시지 정치’를 통해 한동안 가려 있던 존재감을 드러냄과 동시에 대선 주자로서 내공 쌓기에 들어가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안 의원은 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일본 센고쿠 요시토(仙谷由人) 전 관방장관을 만나 경색된 한일 관계에 대해 간담회를 갖는다.
센고쿠 전 장관은 일본 내 한국과의 관계가 밀접한 이른바 ‘지한파’ 인사로, ‘민주당 정권의 숨은 실력자’로 불리며 2010년 한국 강제병합 100년 사죄 담화(’간 나오토 담화’) 작성과 발표, 조선왕실 의궤 반환 등을 주도한 인물이다.
이번 만남은 센고쿠 전 장관의 방한에 맞춰 주일대사 출신이자 안 의원의 후원회장을 맡은 최상용 고려대 명예교수의 주선으로 이뤄지게 됐다.
안 의원 측은 “안 의원이 7·30 재보궐 선거 과정에서도 주한 일본특파원들과 간담회를 할 정도로 한일 관계에 관심이 많다”며 “초선의원이긴 하나 경제나 외교·안보 등 거시적인 면에 눈길이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안 의원은 특히 최근 경색된 한일 관계 및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 속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정부에 대해 평소 주변인들에게 종종 답답함을 토로했다고 한다.
이날 간담회에서 안 의원은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 담화를 일본 아베 정부가 수정하려는 시도는 양국 간 신뢰를 훼손하는 일이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가 전향적인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일본과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우리 정부의 대일 외교 정책에 대해서도 외교 채널 복원 요청 등 쓴소리를 할 것으로 전해졌다.
안 의원은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그간 말을 아끼던 개헌론과 권력구조에 대해 “아직 우리나라는 대통령제가 기반이 돼야 한다”고 의견을 밝히는 등 기존의 소극적 태도와 대비되는 모습을 보였다.
헌재 결정에 따른 선거구 재획정 문제에 대해서도 정치권과 선관위의 입김을 사실상 배제한 사회적 합의기구를 설치해 논의하자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