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한국 재벌을 ‘조직 폭력배’에 빗댄 주진형(57) 전 한화투자증권 대표의 발언이 화제가 됐다.
이미지 확대
주진형 전 한화투자증권 대표 서울신문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주진형 전 한화투자증권 대표
서울신문DB
주 전 대표는 이날 청문회에서 지난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대한 반대 의견을 밝혀 부당한 사퇴 압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주 전 대표의 바로 앞에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출석해 있었다.
주 전 대표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관련 한화가 왜 이렇게 예민하게 반응했는지 묻는 질문에 “우리나라 재벌이 다 그렇지만 조직폭력배 운영 방식과 같아서 누구라도 거역하면 확실히 응징한다는 논리가 있다”고 답했다. 이 말이 나올 때 증인으로 앉아있던 김승연 한화 회장의 표정은 굳어 있었다.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어떤 압력을 받았는지 묻자 주 전 대표는 “삼성과 한화그룹 양쪽에서 모두 압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처음 보고서가 나가기 며칠 전 한화그룹의 경영기획실장인 금춘수 사장이 한화그룹과 삼성은 사이도 좋고 앞으로 거래도 많고 그래서 부정적 보고서는 쓰지 말라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주 전 대표는 1차 보고서가 나간 뒤 더 노골적인 압박이 있었다고 폭로했다. 그는 “보고서가 나간 뒤 금 사장이 다시 ‘당신 때문에 장충기 삼성전자 미래전략실 사장에게서 불평 전화를 받았다’며 더는 보고서를 쓰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란 말을 계속했고 그 약속을 할 수 없다고 했다”고 말했다. 주 전 대표는 임기를 6개월가량 남긴 지난해 9월 연임 불가 통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삼성전자 출신으로 삼성생명과 삼성증권 등을 거쳐 2013년 한화투자증권 대표이사를 맡았던 주 전 대표는 올 3월 말 퇴임 후 더불어민주당 총선정책공약단 부단장으로 활동했다. 그는 증권업계에 있을 당시 매도 리포트 확대, 고위험 주식 선정 발표 등 잇단 ‘개혁 실험’에 나서 ‘증권업계의 돈키호테’라는 별명을 얻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