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도 동양대 총장과 통화 인정…“사실관계 취재한 것”
“동양대와 같은 재단 학교 졸업해 아는 사이”“조 후보자 오해 많이 받아 당연히 해야 할 일”
“표창장 실무자가 처리했는지 살펴달란 정도”

뉴스1
김두관,‘동양대 총장과 통화한 것은 맞다’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 2019 정책페스티벌 기자 간담회에 참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이날 김 의원은 “동양대 총장에 전화한 건 사실이며 평소 친분 있어 경위파악 하기위해 통화를 했다”고 밝혔다. 2019.9.5
뉴스1
뉴스1
김 의원은 평소 최 총장과 알고 지낸 사이어서 의혹을 확인하는 것이 당연히 해야 할 일이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조 후보자를 도와달라는 부탁을 최 총장에게 하지 않았다”면서 “결벽증이 있어 그런 것은 못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어제) 오전 11시 전후 최 총장과 통화를 했다. (조 후보자 딸 관련 의혹) 경위를 묻는 차원이었다”며 “조 후보자가 여러 오해를 많이 받고 있어 경위를 확인하는 것은 당연히 해야 할 일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최 총장과 알고 지낸 사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저는 동양대와 같은 재단에 속한 경북전문대 졸업생이다. 경북 영주에서 (제가) 학교를 다녀 최 총장 부친이 은사라서 잘 안다”며 “자연스럽게 1년에 한두번 식사도 하고 가끔 통화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회의원이 아는 분과 일상적으로 통화하고 상황도 들어보고 민심을 파악하는 게 기본 일정”이라며 “저는 최 총장뿐 아니라 각계 사람과 소통한다”고 덧붙였다.

최성해 동양대 총장. 연합뉴스
김 의원은 통화내용에 대해 “(최 총장) 본인은 (표창장을 준 것이) 기억에 없다고 했고, 본인은 직접 한 것 같지는 않다고 했다”며 “(실무자가 하는 일을) 총장이 아시겠나. 행정실장이 하실 건데. 총장이 인지를 하지 못했더라도 실무자가 했을 수 있으니 살펴봤으면 한다는 정도였다”고 전했다.
그는 ‘오해를 받을 수 있다’는 지적에 “그런 생각은 해보지 않았다”며 “상황이 복잡하고 언론에서도 논란이고 대학도 표창장을 준 적이 없다 해서 저로서는 동양대와 특별한 인연이 있는 사람이라 경위 확인을 위해 전화할 수 있는 일이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노무현시민센터는 2021년 완공을 목표로 지하 3층, 지상 3층 규모에 각 층에는 공연장, 미디어센터, 강의실, 공유 사무공간, 대통령의 서가, 카페테리아, 노무현재단 사무공간 등이 들어서게 된다. 2019.9.4
뉴스1
노무현 전 대통령 향한 그리움에...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원서동 노무현시민센터 건립부지에서 열린 기공식에서 손으로 눈가를 찍어내고 있다.
노무현시민센터는 2021년 완공을 목표로 지하 3층, 지상 3층 규모에 각 층에는 공연장, 미디어센터, 강의실, 공유 사무공간, 대통령의 서가, 카페테리아, 노무현재단 사무공간 등이 들어서게 된다. 2019.9.4
뉴스1
노무현시민센터는 2021년 완공을 목표로 지하 3층, 지상 3층 규모에 각 층에는 공연장, 미디어센터, 강의실, 공유 사무공간, 대통령의 서가, 카페테리아, 노무현재단 사무공간 등이 들어서게 된다. 2019.9.4
뉴스1
유 이사장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어제 점심 때쯤 최 총장과 통화한 적이 있다”며 “그러나 (조 후보자를 도와달라는) 제안을 드린 적이 없다. 저도 ‘유튜브 언론인’이라 사실관계에 관한 취재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 이사장은 “최 총장을 잘 안다. 예전에 저를 교수로 초빙한 적이 있지만 사양했고 동양대에 강연이나 교양강좌도 간 적이 있다”며 “그래서 동양대에서 나간 것이 총장상인지 표창인지, 기록이 남아있는지, 봉사활동 내용이 무엇이었는지 사실관계를 여쭤본 것”이라고 말했다.
유 이사장은 “언론보도가 굉장히 조 후보자를 도덕적으로 공격하고 있는 시나리오로 짜여 있는 것 같다는 의견은 말씀드렸지만 어떻게 공인이고 대학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총장에게 사실과 다른 진술을 언론과 검찰에 해달라는 제안을 하겠느냐”며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