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서해안 절벽의 동굴에 배치된 해안 포와는 별개로 후방 육상부대의 장비인 로켓포까지 쏜 점에서 알 수 있듯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한 뒤 공격을 했는데도, 한국군은 연평도에 배치한 155㎜ 장거리 자주포(사거리 40㎞) 6문 중에서 정작 3문밖에 쏠 수 없는 상태였다고 비교한 것이다.
산케이 신문은 또 북한군이 연평도 주변의 서해안 일대에 군단 규모의 병력 수만명을 배치해둔 반면, 한국군은 해병대 약 5천명 등 여단 규모에 그친데다 최근에 축소 계획까지 거론되고 있다며 “충돌이 되풀이되는 최전선인데도 한국군이 뜻밖에 약하다는 점이 드러났다”고 적었다.
이 신문은 또 한국군의 최대의 문제점은 3월에 천안함 침몰 사건이 일어난 뒤에도 유사시 대책을 개선하지 않았다가 이번 일을 당했다는 점이라고 꼬집었다. 보수 성향이 강한 이 신문은 한국군의 이같은 문제점을 김대중.노무현 정권 당시의 포용정책과 연결했다.
포용정책 탓에 장병들의 대북 적개심이 크게 줄었고, 지휘관들도 무사안일주의에 빠졌다는 것이다.
이 신문은 한국이 포용정책 이후 “북을 자극해서는 안된다”며 최전선의 전력 강화나 활동에 제동을 걸기 쉬운 상태에 빠진 탓에 북한의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고 결론 내렸다.
도쿄=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