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문제는 여전히 이견…27일 金외교·千수석 만나
북핵 6자회담 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 특별대표가 26일 방한, 우리 측 수석대표인 위성락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났다. 우 대표는 우리 측이 제안한 ‘남북대화→북·미대화→6자회담’이라는 3단계 접근안을 지지했지만 북한의 반응 등 대화 재개를 위한 ‘보따리’는 없었다. 북한의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공동취재단
우다웨이 3박4일 방한
26일 방한한 6자회담 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왼쪽)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위성락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면담에 앞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사진공동취재단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회담 후 브리핑에서 “북핵문제 현황을 평가하고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의견을 교환했으며 최근 북·중 협의 내용을 들었다.”며 “중국은 우리가 제기해 온 접근 방법에 지지를 표시했고, 이 과정을 통해 회담 재개 여건이 마련되길 바라는 점에서 한·중 간 의견이 일치했다.”고 말했다. 앞서 우 대표는 회담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국이 원하는 남북대화가 조기에 열리기를 바라고 지지한다.”며 “미국과 북한도 적당한 시기에 대화를 하는 것을 희망하고 지지하며, 이를 기초로 6자회담이 조기에 재개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지난 11일 북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과 만난 뒤 언급했던 3단계 방안에 대한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그러나 우 대표가 밝힌 북·중 간 협의 내용은 달라진 것이 없었다. 이 당국자는 “북·중 협의 내용은 기본적인 수준으로, 북측도 비핵화에 대한 입장은 변함 없으며 대화를 할 것이고 6자회담에 조건 없이 나오겠다는 입장”이라며 “6자회담에 대해 우리는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중국 측에 3단계 안에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우리 측의 제안을 지지하면서도 정작 북한을 상대로 이를 요청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은 또 3단계 안은 반대하지 않지만 UEP 문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아닌, 6자회담에서 협의해야 한다는 입장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결국 북측의 몫으로, 북측의 명확한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우 대표는 27일 김성환 외교장관과 천영우 외교안보수석을 만날 예정이다. 29일까지 머물면서 개인 일정을 소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1-04-2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