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9일 오전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했는데도 국방부와 합참은 북한군의 특이동향이 없다고 발표해 고의로 숨긴 것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국방부와 합참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사실이 발표된 이후 경계태세 2급 발령 사실을 밝히면서 현재 북한군의 특이 동향은 없다고 몇 차례나 언론에 확인했다.
하지만 북한은 군당국의 북한군 동향 발표에 앞서 오전 8시30분께 KN-02 지대지로 추정되는 단거리 미사일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이 사실은 오후 6시57분 일본의 한 방송을 통해 보도됐고 결국 사실로 확인됐다.
군은 이런 보도에도 북한군의 특이 동향이 없다는 발표를 수정하지 않았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것을 대남 도발로 판단하지 않았다”면서 “성능 개량 이상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그간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사실을 언론에 일일이 확인해주지 않았다”면서 “국민의 불안감 조성도 있고...”라고 얼버무렸다.
군당국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더라도 공식적으로 확인해주지 않고 있다. 통상적으로 일본 언론에 보도된 이후에야 마지못해 확인하는 것을 관례로 여기고 있다.
막대한 국민 세금으로 취득한 북한 정보를 ‘보안’이란 이유로 군 스스로 독점하는 습성을 버리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특히 김 위원장 사망이라는 매머드급 사태 앞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사실을 숨긴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 군 안팎의 지적이다.
한 국방 관련 전문가는 “북한 일선 군부대에서 김 위원장의 사망 사실을 알지 못하고 미사일을 시험발사 했을 수도 있지만, 시점상 김 위원장 사망후 이틀이 지난 상황에서 북측이 미사일을 시험 발사한 것은 북한군의 특이 동향에 해당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면서 “국방부가 너무 안일하게 상황을 판단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북한은 KN-02 단거리 미사일의 성능을 개량하기 위해 매년 수차례 시험 발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폭격기에서 발사하는 공대함 미사일도 시험하는 것으로 군은 파악하고 있다.
한편, 북한이 함경남도 동해안에서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후에도 북한군의 전투 태세에 문제가 없음을 과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러시아 전문가들이 분석했다.
러시아 전략기술분석센터 콘스탄틴 마키옌코 부소장은 이날 현지 리아노보스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명백히 김 위원장 사망과 연관된 것”이라며 “북한의 목적은 국제사회, 특히 북한의 이웃 국가들에 현재 북한군이 충분한 전투태세를 갖추고 있으며 어떤 상황 전개에도 대응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전(前) 러시아 전략미사일군 사령관 빅토르 예신도 비슷한 견해를 밝혔다. 예신 전 사령관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북한군의 단호함과 전투력을 보여주기 위해 이뤄졌다”며 “외부세계의 어느 누구도 북한 내정에 간섭해선 안된다는 메시지를 주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예신은 이날 발사된 미사일이 사거리 300km 이내의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