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16~17일 ‘정보공유 약정’ 후속조치 협의

한미일, 16~17일 ‘정보공유 약정’ 후속조치 협의

입력 2015-04-12 11:08
수정 2015-04-12 1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공할 대북정보 세부기준 마련…”약정 발효후 아직 미공유”

한국과 미국, 일본은 16~17일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일 안보토의(DTT)’를 한다고 국방부가 12일 밝혔다.

미국 국방부 주최로 열리는 이번 DTT에서는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공조와 한미일 ‘북한 핵과 미사일 위협에 관한 정보공유 약정’(정보공유 약정) 후속조치 등을 집중적으로 협의한다.

특히 지난해 12월29일 발효된 정보공유 약정의 후속조치와 관련해서는 3국이 공유할 대북정보의 세부 기준과 전달 방식 등이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3국은 2~3급 수준의 북한 핵·미사일의 기밀 정보를 교환한다는 데는 인식을 함께하고 있지만 아직 세부 기준을 확정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우리 정부는 북한이 올해 들어 발사한 탄도미사일에 관한 정보를 일본과 아직 공유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3국간 정보 공유는 미국을 매개로 이뤄진다.

즉 우리나라가 수집한 북한 핵과 미사일 정보를 미국 국방부에 전달하면, 미국국방부는 우리 정부(국방부)의 승인을 거쳐 일본 방위성에 전달하게 된다.

거꾸로 일본이 수집한 북한 핵과 미사일 정보 또한 미국이 중개해 같은 방식으로 한국에 전달된다.

이번 DTT에 앞서 14~15일에는 미국에서 제7차 한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회의도 열린다.

KIDD에는 류제승 국방부 국방정책실장과 데이비드 헬비 동아시아 부차관보가 대표로 참석한다.

점증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한미 연합 억제력 강화 방안과 지난해 한미안보협의회(SCM) 때 양국이 합의한 전작권 전환시기 연기 후속조치 논의를 비롯해 ‘전략동맹 2015’를 대체할 새로운 전략문서의 기본문을 합의할 예정이라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양국은 이번 KIDD에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맞춤형 억제전략 구현 방안을 모색해온 확장억제정책위원회(EDPC)와 미사일대응능력위원회(CMCC)를 통합해 ‘한미억제전략위원회’(DSC)를 출범시킬 계획이다.

이달부터 가동될 DSC에서는 북한 핵과 미사일에 대응한 ‘4D개념’을 작전개념 수준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협의한다.

4D는 방어(Defence), 탐지(Detect), 교란(Disrupt), 파괴(Destroy)를 뜻하는 말로, 북한의 미사일에 대한 방어계획을 수립하고 유사시 탐지, 추적, 파괴하는 일련의 작전개념을 의미한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지난 7월 14일부터 시행된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주차요금 50% 감면’ 제도가 공영주차장에서 안내 부실과 표기 누락으로 제도 취지가 제대로 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이 발의한 ‘서울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 개정안은, 기존 국가유공자와 독립유공자 본인에게만 적용되던 공영주차장 요금 감면(80%)을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에게까지 확대(50% 감면)한 내용이다. 지난 7월 14일부터 감면이 적용됐음에도 8월 8일까지 감면 혜택을 받은 유족이 전무해, 주요 공영주차장 감면 안내표시를 확인한 결과, 감면 내용이 게시되지 않았거나 매우 작은 글씨로 표기된 경우가 많아 시민들이 쉽게 인지하기 어려웠다. 지난 8월 12일 기준, 서울시 공영주차장 128개소 중 가장 큰 규모의 주차장 40개소를 확인하여 안내표지판에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요금 면’ 내용을 게시 조치했으나, 글씨가 작은 게시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또한 서울시설공단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점검 대상 40개소 중 ‘독립유공자 본인 주차요금 감면 80%’ 표기가 누락된 곳이 20곳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공공기간 부설주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