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개선 인식차 뚜렷한 두 정상 축사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2일 서울과 도쿄에서 진행된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리셉션에서 한·일 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공통의 인식을 보였다. 그렇지만 미세한 차이도 있었다. 박 대통령이 과거사 치유를 통해 미래로 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반면 아베 총리는 한·미·일 3국 협력을 강조해 한·일 관계 개선을 둘러싼 인식의 간극을 드러냈다.박 대통령은 축사에서 “국교정상화 이후 50년간 두 나라는 정치, 안보, 경제, 문화,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를 통해 관계를 증진했다”고 평가했다. 아베 총리 역시 “일본에 있어서 한국이, 한국에 있어서 일본이 가장 중요한 이웃 국가로 양국은 신뢰를 바탕으로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양 정상은 강조점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드러냈다. 박 대통령이 과거사 문제의 해결을 은연중 강조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올해가 미래를 향해 나갈 수 있는 역사적 기회”라고 강조하면서 “과거사의 무거운 짐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평소 고령으로 힘든 삶을 살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다고 강조한 점을 감안하면 올해가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사적 기회라는 점을 에둘러 표현한 것이다. 즉 한·일 관계가 악화된 원인이 과거사를 둘러싼 문제인 만큼 일본이 좀더 책임 있는 자세로 이를 풀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또 신뢰가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사자성어 ‘무신불립’(無信不立)을 언급해 양국 관계가 더이상 임기 초 개선→임기 말 악화와 같은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신뢰를 쌓아야 한다는 점도 언급했다.
반면 아베 총리는 중국의 부상에 따른 한·미·일 공조에 방점을 찍었다. 아베 총리는 행사장에 참석한 캐럴라인 케네디 주일 미국대사를 소개하며 “일·한 관계의 발전은 숱한 장애를 극복해 가면서 구축된 것으로 한·일 양국이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특히 “일·한 양국의 협력 강화와 일·미·한 3국의 협력 강화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더없이 소중하다”고 덧붙였다. 이는 한·일 관계가 비록 좋지 않지만 중국의 부상에 맞서 한·미·일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맞서 안보 협력을 강화하자는 목소리를 높일 가능성도 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능력이 고도화되는 상황에서 더이상 과거사를 빌미로 안보 협력을 미뤄서는 곤란하다는 인식 때문이다.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5-06-2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