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총회 23분간 기조연설
박근혜 대통령은 29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0차 유엔총회의 기조연설에서 “북한은 추가 도발보다 개혁과 개방으로 주민들이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면서 “(북한이) 핵개발을 비롯한 도발을 강행하는 것은 세계와 유엔이 추구하는 인류평화의 가치를 훼손하는 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0차 유엔총회에서 반기문(뒷줄 왼쪽) 유엔 사무총장 등이 지켜보는 가운데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뉴욕 연합뉴스
뉴욕 연합뉴스
●“2차대전 성폭력 피해 해결” 촉구
박 대통령은 이날 한국어로 한 23분간의 연설에서 북핵 문제 해결 및 동북아 역내 평화 실현, 한반도 통일 비전, 유엔 등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 등 크게 3가지 분야에 대한 구상을 제시했다.
북핵 문제에 대해서는 “북한 핵은 국제 핵비확산 체제의 보존과 인류가 바라는 핵무기 없는 세상으로 나아가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라며 “지난 7월 이란 핵협상이 최종 타결됐는데 이제 마지막 남은 비확산 과제인 북핵 문제 해결에 국제사회의 노력을 집중해야 하겠다”고 호소했다.
한반도 통일 비전에 대해서는 “평화통일을 이룬 한반도는 핵무기가 없고 인권이 보장되는 번영된 민주국가가 될 것”이라며 “70년 전 유엔 창설자들이 꿈꾸었던 평화와 인간존엄의 이상이 한반도에서 통일로 완성될 수 있도록 유엔과 모든 평화 애호국들이 함께 노력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저는 유엔이 1948년 대한민국 탄생을 축복해 줬던 것처럼 통일된 한반도를 전 세계가 축하해 주는 날이 하루속히 오기를 간절히 꿈꾸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유엔총회에 이어 이번에도 북한 인권 문제를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발표된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는 북한 인권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한 바 있다”면서 “북한이 이러한 국제사회의 우려에 귀를 기울여서 인권 개선에 나설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말했다.
●3박 4일 일정 마치고 오늘 귀국
박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과 관련, “국제사회가 분쟁 속의 여성 성폭력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은 2차 대전 당시 혹독한 여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들이 이제 몇 분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라며 “이분들이 살아 계실 때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해결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3박 4일간의 뉴욕 방문을 마치고 30일 오전 귀국한다.
뉴욕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5-09-3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