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국방부, 100문 구입 가격협상 마쳐
러시아 매체 “핀란드, 국방비 압박으로 중고품 검토…덴마크도 구매 검토”
한국이 개발한 ‘명품 무기’ 155mm 자주 곡사포 K-9가 터키·폴란드에 이어 조만간 인도에도 수출될 전망이다.
또 핀란드가 한국과 K-9 구매협상을 벌이는데 이어 덴마크 역시 구매를 검토하고 있어 수출은 한층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6일 영국 군사전문 매체 IHS 제인스 디펜스 위클리와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인도 국방부는 ‘K-9 바지라(천둥)’ 자주포 100문을 약 7억5천만 달러(8천741억원)에 구매하기로 하고 한화테크윈 합작 파트너인 인도 방산업체 ‘라르센 앤드 토브로’(L&T)와 가격협상을 마쳤다.
K-9 바지라는 한화테크윈이 개발해 한국 육군과 해병대가 운용하는 ‘K-9 천둥’ 자주포를 인도 현지 상황에 맞게 일부 개량한 모델이다.
K-9 바지라 구매 안건은 조만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주재하는 내각 안보위원회에 상정될 전망이다. 이르면 8월에 구매가 확정될 수 있다는 전망도 일각에서 나온다.
아울러 K-9 50문을 더 구매하는 방안도 이번 회계연도가 끝나는 2017년 3월까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화테크윈과 L&T는 K-9 바지라 초기 인도분은 한국에서 생산하고, 나머지는 합작법인을 설립해 인도 서부 푸네의 공장에서 조립·생산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모디 정부의 자국 제조업 성장 촉진책 ‘메이크 인 인디아’에 맞춰 전체 부품의 50%는 인도 현지 생산품을 사용하는 방안이 추진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구매안에 K-9과 함께 운용되는 K-10 탄약보급장갑차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K-9 바지라는 인도 육군이 새 자주포 도입을 위해 2013∼2014년 시행한 시험평가에서 러시아의 2S19 MSTA 자주포를 제치고 유일하게 합격한 바 있다.
한편, 러시아 관영매체 스푸트니크는 핀란드도 K-9 구매 협상을 한국 측과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핀란드는 신속대응군 지원화력 보강을 위해 장사거리에 험준한 지형에서 기동성이 뛰어난 K-9 자주포를 도입, 2020∼2030년 사이에 자국군의 노후한 포대 일부를 교체할 방침이다.
구체적 거래조건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핀란드는 국방비 압박 때문에 신제품이 아닌 중고품 구매를 검토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이 매체는 또 덴마크도 K-9 도입을 고려중이라고 덧붙였다.
우리 군이 2000년 실전 배치한 K-9 자주포는 대표적인 국산 무기로, 사거리가 40㎞에 달하고 1분에 6발을 쏠 수 있다. 최대 속력이 시속 67㎞를 넘어 빠른 시간에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연합뉴스
러시아 매체 “핀란드, 국방비 압박으로 중고품 검토…덴마크도 구매 검토”
한국이 개발한 ‘명품 무기’ 155mm 자주 곡사포 K-9가 터키·폴란드에 이어 조만간 인도에도 수출될 전망이다.
또 핀란드가 한국과 K-9 구매협상을 벌이는데 이어 덴마크 역시 구매를 검토하고 있어 수출은 한층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6일 영국 군사전문 매체 IHS 제인스 디펜스 위클리와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인도 국방부는 ‘K-9 바지라(천둥)’ 자주포 100문을 약 7억5천만 달러(8천741억원)에 구매하기로 하고 한화테크윈 합작 파트너인 인도 방산업체 ‘라르센 앤드 토브로’(L&T)와 가격협상을 마쳤다.
K-9 바지라는 한화테크윈이 개발해 한국 육군과 해병대가 운용하는 ‘K-9 천둥’ 자주포를 인도 현지 상황에 맞게 일부 개량한 모델이다.
K-9 바지라 구매 안건은 조만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주재하는 내각 안보위원회에 상정될 전망이다. 이르면 8월에 구매가 확정될 수 있다는 전망도 일각에서 나온다.
아울러 K-9 50문을 더 구매하는 방안도 이번 회계연도가 끝나는 2017년 3월까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화테크윈과 L&T는 K-9 바지라 초기 인도분은 한국에서 생산하고, 나머지는 합작법인을 설립해 인도 서부 푸네의 공장에서 조립·생산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모디 정부의 자국 제조업 성장 촉진책 ‘메이크 인 인디아’에 맞춰 전체 부품의 50%는 인도 현지 생산품을 사용하는 방안이 추진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구매안에 K-9과 함께 운용되는 K-10 탄약보급장갑차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K-9 바지라는 인도 육군이 새 자주포 도입을 위해 2013∼2014년 시행한 시험평가에서 러시아의 2S19 MSTA 자주포를 제치고 유일하게 합격한 바 있다.
한편, 러시아 관영매체 스푸트니크는 핀란드도 K-9 구매 협상을 한국 측과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핀란드는 신속대응군 지원화력 보강을 위해 장사거리에 험준한 지형에서 기동성이 뛰어난 K-9 자주포를 도입, 2020∼2030년 사이에 자국군의 노후한 포대 일부를 교체할 방침이다.
구체적 거래조건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핀란드는 국방비 압박 때문에 신제품이 아닌 중고품 구매를 검토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이 매체는 또 덴마크도 K-9 도입을 고려중이라고 덧붙였다.
우리 군이 2000년 실전 배치한 K-9 자주포는 대표적인 국산 무기로, 사거리가 40㎞에 달하고 1분에 6발을 쏠 수 있다. 최대 속력이 시속 67㎞를 넘어 빠른 시간에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