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사드 배치 장소 발표할 때 수도권 방어 관련 사항 같이 말할 것”

한미 양국이 주한미군에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를 배치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8일 발표했다. 사진=미 국방부 제공
한·미 양국이 주한미군에 배치하기로 결정한 최종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가 들어설 장소로 경북 칠곡과 경기 평택, 충북 음성, 강원 원주, 전북 군산 등이 거론되고 있다. 후보지 중 경북 칠곡이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경북 칠곡이 수도권과 멀리 떨어져 있어 향후 사드가 이 곳에 배치될 경우 수도권 방어가 가능하겠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국방부는 “수도권(방어)과 관련한 사항은 (사드) 배치 부지를 발표할 때 같이 설명하겠다”면서 즉답을 피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8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실에서 ‘사드 1개 포대로는 한국 전역을 방어할 수 없다’는 취재진의 질문에 “현 시점에서 수도권 방어 관련 사항은 언급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면서 “한·미 공동실무단에서 지금까지 사드를 어디에 배치해야 군사적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느냐는 관점에서 논의했다”고만 답한 채 수도권 방어 가능 여부에 대한 언급은 피했다.
취재진이 이어 ‘사드 배치 지역이 수도권을 방어할 수 없는 위치라면 국민적 비난을 받을 수 있다’고 물었으나 국방부 관계자는 “수도권과 관련한 사항은 배치 부지를 발표할 때 충분한 설명을 하겠다”고만 말했다. 한·미 양국은 이르면 이달 안에 사드 배치 부지를 최종 결정할 전망이다.
그러면서 국방부 관계자는 “제2의 사드 체계에 관한 논의는 지금까지 없었고, 현 시점에서 그런 논의 계획(사드 배치 부대 추가)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을 말씀드린다”면서 “(사드 배치에 있어) 중요한 가치라고 생각하는 것이 안전과 건강, 환경이다. 그 기준에 부합되는 위치를 선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사드 포대에 배치될 X밴드 레이다의 유해성을 의식한 발언으로 보인다. X밴드 레이다가 내뿜는 전자파가 인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로 후보지로 거론되는 지역마다 격렬하게 반발하고 있는 점도 한, 미 군 당국이 선뜻 후보지를 결정하지 못하는 이유로 알려져 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