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보스토크 동방경제포럼 오늘 개막
박대통령, 푸틴과 북한 관련 논의사드 배치 놓고 공감대 찾기 노력

블라디보스토크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러시아·중국·라오스 3개국 순방에 나선 박근혜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에 도착해 마중 나온 러시아 정부 측 인사에게서 꽃다발을 받은 뒤 악수하고 있다.
블라디보스토크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블라디보스토크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이곳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일 제2회 동방경제포럼(EEF)을 주최한다. EEF는 푸틴 대통령이 블라디보스토크를 러시아의 경제수도로 만들겠다며 지난해 야심 차게 창설한 국제회의다. 박근혜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의 초청으로 EEF에 참석하기 위해 2일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했다. 박 대통령은 단순한 초청 대상자가 아니라 주빈이다. 한국은 세계 10위권 경제강국인 데다 러시아와 경쟁 관계 내지 영토 분쟁 관계인 미국, 중국, 일본 등과 달리 편안한 사이이기 때문에 푸틴 입장에서는 공들여 초청한 나라다.
반면 러시아의 전통적 우방으로 김일성 때부터 블라디보스토크와 인연이 남다른 북한은 올해 EEF에 불참한다(지난해에는 리용남 대외무역상 참석). 북한은 ‘내부 사정’을 불참 사유로 제시했지만, 한국의 위세에 밀려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할 것을 의식해 참석을 포기했다는 관측이 유력하다. 실제 박 대통령은 EEF에서 주요 참석자로서 발언하는 한편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 등 활발한 활동이 예정돼 있다. 71년 만에 찾아온 역사의 반전인 셈이다. 절묘하게도 날짜 역시 71년 전과 마찬가지로 9월 추석 직전이다.
더욱 아이러니한 것은 역사적으로 북한과 러시아에 공히 의미가 큰 지역인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한·러 정상이 러시아의 우방인 북한을 어떻게 다룰까를 논의한다는 점이다. 71년 전 김일성이 북한에 들어가기 위해 블라디보스토크를 출발할 때는 전혀 상상치 못했을 법한 그림인 셈이다. 특히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놓고 한·러 정상이 공감대를 형성할지 주목된다. 어떤 결론이 나든 김정은 정권 입장에서는 한·러 정상이 바로 자기들 머리 위에서 사이 좋게 만나 대화하는 것 자체가 탐탁지 않을 듯하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이번 순방은 현재 엄중한 경제·안보 상황에서 주요 관련국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제공조를 재확인하는, 아주 대단히 중요한 순방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유념해 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된 1대1 비즈니스 상담회에서 2억 1325만 달러(약 2386억원) 실질 성과를 창출했다”고 밝혔다.
블라디보스토크 김상연 기자 carlos@seoul.co.kr
2016-09-03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