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래스카 사드 요격시험 첫 성공…한국내 ‘무용론’ 제기 대응 차원
미국이 사드 배치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는 데 주력하는 양상이다. 국내 정치권 일각에서 여전히 ‘사드 배치 무용론’이 제기되는 데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11일 미국 미사일방어청(MDA)이 진행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요격 시험에서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표적체가 하와이 인근 태평양 상공에 발사돼 자체 추진력으로 미국 본토를 향해 날아가고 있다. MDA 홈페이지

발사된 사드 미사일이 IRBM 표적체를 적중시킨 뒤 섬광이 일어나고 있다. MDA 홈페이지
주한미군 수뇌부도 적극적으로 사드 배치 필요성을 설파하고 있다. 토머스 밴달 미8군사령관은 지난 11일 기자간담회에서 “성주에 사드가 배치됨으로써 대구, 부산 등 한반도 남쪽의 항만 등 핵심시설과 주민 1000만명을 보호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미군 고위 관계자가 이처럼 구체적으로 사드 효과를 설명한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밴달 사령관은 또 “사드 포대를 철수할 경우 똑같은 방어를 위해 훨씬 많은 패트리엇 포대를 배치해야 할 것”이라며 “넓은 지역이 (북한 미사일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1000만명 넘는 대한민국 국민이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도 지난달 말 전남 광양의 포스코 제철소 등을 거론하며 “사드로 방어할 수 있는 핵심 민간 기반시설”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우리 군 관계자는 12일 “한국 내부 논란에도 불구하고 미군은 사드의 효용성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고 있는 것 같다”면서 “미군은 앞으로도 사드 배치 논리를 더욱더 강화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홍환 전문기자 stinger@seoul.co.kr
2017-07-1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