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 前 통일부 장관이 본 향후 협상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정 전 장관은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전 대표와 유튜브 대담에 출연해 이같이 밝히고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앞으로 수주일 조율을 거쳐 다시 만날 것’이라고 얘기한 것을 보고 1개월 미만이라고 받아들였다”고 덧붙였다.
정 전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얼마나 빨리 만나고 싶었으면 비행기 안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빨리 연결해 달라고 했겠나”면서 “(북미 대화를) 앞당기는 것은 역시 트럼프 대통령에게 부탁받은 문 대통령”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에 대해 “김 위원장과 전화 통화를 하든 원포인트 회담을 하기 전에 실무자에게 상세한 얘기를 들어야 한다”며 “비하인드 스토리를 다 챙겨야 한다. 덜렁덜렁 미국에 가는 게 능사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정 전 장관은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대미 요구를 조금 낮추고 미국의 대북 요구도 조금 낮추는 식으로 해야 한다”며 “그러려면 김 위원장을 먼저 설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의 역할에 주목했다. 정 전 장관은 “첫날 회담에 없었고 둘째 날 오전 단독 회담 때도 없던 볼턴 보좌관이 오후 확대 회담에 뛰어들어 상황이 바뀌었다”고 분석했다.
정 전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문제를 풀려고 하는 것은 재선과 노벨평화상 때문인데 이번 회담이 국내 정치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고 27일 밤사이에 결정한 것 같다”고 말했다. 어설프게 스몰딜하느니 차라리 노딜로 서명을 하지 않고 가는 게 뉴스가 더 된다고 밤사이 계산했다는 것이다.
그는 “1993년 북핵 문제가 터진 후로 계속 지켜봤는데 북핵 협상이 이런 식으로 웃으면서 헤어지는 걸 보지 못했다”며 “피차 판을 깰 생각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이 단순히 희망적인 관측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9-03-0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