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750억 투입해 1일 단가 13.8% 인상
배달음식·브런치 늘리고 현금지급 검토

휴가 복귀 후 의무격리 장병 부실급식 논란. 페이스북 ‘육군훈련소 대신 전해드립니다’ 캡처
국방부는 3일 ‘장병 생활여건 개선 전담팀’(TF) 출범회의를 갖고 이런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우선 장병 급식의 질을 높이기 위해 다음달부터 장병 1인당 1일 급식단가를 8790원에서 1만원으로 약 13.8% 인상하기로 했다. 부실 급식 논란에 따른 파장이 커지자 예산(약 750억원)을 추가 투입해 급한 불부터 끄기로 한 것이다. 배달음식은 연 4회에서 월 2회, 브런치는 월 1회에서 2회로 확대한다. 장기적으로는 ‘현물’ 제공의 급식 운영 방식을 ‘현금’ 방식으로 전환해 장병들 선택권을 넓히는 방안도 검토한다. 또 군 급식을 민간에 위탁하는 시범 사업은 각 군 교육훈련기관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연간 단위 계약을 통해 장병들의 식단을 짜는 기존 공급자 중심의 식재료 조달 체계도 손을 보기로 했다. 현재 장병 급식에 사용하는 농수축산물은 50여년 전 농협과 맺은 협정에 따라 수의계약 방식으로 조달된다. 가공식품은 상당 부분 중소기업 제품을 쓴다. 이런 방식은 국산 식자재의 안정적 조달, 농가·중소기업 보호 등 여러 이점을 낳지만 장병들 선호가 반영되지 않은 탓에 많은 양이 잔반으로 처리된다.
피복류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도 추진한다. 우선 셔츠, 내의, 양말, 운동복, 운동화 등에 대해선 장병들의 요구를 반영해 민간 상용품을 확대 보급하기로 했다. 군마트(PX)를 카페형으로 바꾸는 등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 장병의 취향도 적극 고려하기로 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21-06-04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