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軍 정찰위성, 지상 교신 성공… 北도 이달 내 정찰위성 발사할 듯

한국軍 정찰위성, 지상 교신 성공… 北도 이달 내 정찰위성 발사할 듯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4-04-08 23:47
수정 2024-04-08 23: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팰컨9’ 로켓에 실려 궤도 진입
6~7월부터 대북 정찰 임무 돌입
하루 4~6회 北 영상 정보 수집

이미지 확대
軍정찰위성 2호기 발사 성공… 악천후에도 밤낮으로 北 감시한다
軍정찰위성 2호기 발사 성공… 악천후에도 밤낮으로 北 감시한다 우리 군 군사정찰위성 2호기가 8일(한국시간) 오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되고 있다. 정찰위성 2호기는 ‘합성개구레이더’(SAR)를 탑재해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하다. 또 하루 4~6회 북한 전역을 촬영할 수 있어 대북 감시정찰 능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국방부 제공
먹구름이 낀 흐린 날씨 속에서도 북한 내 주요 표적을 깨끗하게 감시·정찰할 수 있는 군사정찰위성 2호기가 우주궤도에 정상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군사정찰위성 2호기는 8일 오전 8시 17분(현지시간 7일 오후 7시 17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미 민간 우주업체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2호기는 오전 9시 2분 목표궤도에 정상 진입했으며 10시 57분 해외 지상국과 교신했다. 2호기는 운용시험 평가를 거쳐 오는 6~7월부터 대북 정찰 임무에 돌입한다.

2호기는 전자파를 지상 목표물에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 데이터를 합성해 영상을 만드는 방식인 ‘합성개구레이더’(SAR)를 탑재해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하다. 특정 지역의 방문을 최적화하기 위해 설계된 경사궤도로 돌기 때문에 하루에 4~6회 북한 지역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이에 반해 지난해 12월 2일 발사된 1호기는 날씨 영향을 크게 받고 하루 두 번만 한반도 상공을 촬영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군은 앞으로 고해상도 중대형(800㎏~1t) 군사정찰위성을 내년까지 5기, 2030년까지 소형(500㎏ 미만)과 초소형(100㎏ 미만) 정찰위성을 50~60기 확보할 계획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중대형 정찰위성 5기면 한반도 재방문 주기를 대략 2시간 간격, 초소형 정찰위성까지 확보하면 30분 이내로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북한이 두 번째 군사정찰위성을 이달 중순 발사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밝혔다. 신 장관은 이날 국방부 청사에서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참관한 뒤 “당초 3월이면 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예의 주시했는데 몇 가지 추가적인 보완을 하는 것 같다”면서 “4월 15일(김일성 주석 생일)이 특별한 날이니 (그즈음) 쏘려고 하겠지만 기술적으로 추가적인 보완을 하려면 4월 말까지 열어 놓고 생각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2024-04-0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