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열 장관, 유네스코 사무총장에 “사도광산 세계유산 후속 조치 관심” 요청

조태열 장관, 유네스코 사무총장에 “사도광산 세계유산 후속 조치 관심” 요청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4-09-25 14:05
수정 2024-09-25 14: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뉴욕서 면담…후속 조치 이행 관련 지원 당부
日약속한 ‘추도식 개최’ 아직 구체적 일정 미정

이미지 확대
조태열 장관, 유네스코 사무총장 면담
조태열 장관, 유네스코 사무총장 면담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을 계기로 오드레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을 만나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4.9.25 외교부 제공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유네스코 사무총장을 만나 일본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관련 후속 조치에 관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으냐 이날 오드레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과 면담하고 한국과 유네스코의 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며 사도광산 문제를 언급했다.

외교부는 지난 7월 일제강점기 강제노역 시설인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두고 일본 측과 협의하면서 일본이 사도광산에 조선인 강제노역뿐 아니라 ‘전체 역사’를 담으라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측 권고를 수용하고 조선인 노동자 관련 전시물 사전 설치와 추도식 매년 개최 등의 조치를 하기로 하자 등재 결정에 동의했다.

다만 당초 매년 7~8월쯤 사도섬에서 사도광산 노동자 추도식을 개최한다고 발표했지만 아직 올해 일정이 확정되진 않았다.

조 장관은 또 한국과 유네스코가 지난 5월 최초로 한·유네스코 정책협의회를 열어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체계화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한국이 유네스코에 대한 기여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도 설명했다. 오는 10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의 세계시민교육상 제정 추진에도 협조를 당부했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아줄레 사무총장은 한국이 세계시민교육 및 아프리카 직업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네스코의 활동을 지원해 온 데 대해 사의를 표명하고, 지속적인 협력을 희망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