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소형화된 핵탑재 로켓” 주장 속 우리軍 “핵탄두 탑재 판단은 일러” 300㎜ 방사포는 실전 배치 임박 평가
북한이 지난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KN08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개량형과 신형 300㎜ 방사포를 공개했다. 북한은 “다종화되고 소형화된 핵탄두를 탑재한 전략로켓들을 공개했다”며 KN08이 핵무기를 탑재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우리 군 당국은 신빙성이 낮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北 개량형 ICBM·300㎜ 신형 방사포 첫 공개
북한이 지난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탄두가 개량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KN08(왼쪽)과 300㎜ 신형 방사포(오른쪽)를 공개했다. 북한은 열병식에서 ‘다종화되고 소형화된 핵탄두 탑재’를 언급했지만 우리 군 당국은 신빙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북한은 2012년 4월 15일과 2013년 7월 27일 열병식에서 사거리가 1만 2000㎞로 알려진 KN08을 공개했다. 하지만 10일 공개한 KN08은 탄두를 탑재하는 앞부분이 기존의 뾰족한 형태에서 둥근 형태로 바뀌어 있었다. 이에 소형화된 핵탄두를 여러 개 탑재한 다탄두 능력을 보유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하지만 우리 군 관계자는 11일 “KN08에 관한 분석을 진행 중이나 핵탄두를 탑재했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면서 “다탄두 탑재 미사일을 만들려면 핵탄두를 200㎏ 수준으로 소형화하는 기술이 필요한데 북한이 이를 갖췄는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KN08은 시험 발사한 적도 없어서 실전 배치 여부도 불확실하다”고 덧붙였다.

ICBM 탄두 탑재부 앞부분을 뾰족한 형태가 아닌 둥근 형태로 만들면 공기 저항이 커져 비행 속도와 정확도가 떨어진다. 하지만 미사일이 우주로 나갔다가 다시 대기권으로 재진입할 때 받게 되는 열이 줄어들어 내부의 물체를 보호하기 쉬울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북한이 공개한 300㎜ 방사포는 중국제를 모방 생산한 것으로 현재 개발 완료 단계에 있어 실전 배치가 임박한 것으로 평가된다. 300㎜ 방사포는 2013년 5월 북한이 동해상으로 시험 발사했을 때 한·미 군 당국이 처음 식별했다.
북한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은 공개하지 않아 아직 개발 단계에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5-10-12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