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착까지 60시간… ‘김일성처럼’ 김정은 열차 탈까

도착까지 60시간… ‘김일성처럼’ 김정은 열차 탈까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19-02-17 22:54
수정 2019-02-18 00: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北실무팀 특별열차 염두 랑선성 점검

中 거쳐 하노이로 이동할 때 최단코스
김창선, 직항 있는데도 광저우 경유해
김일성 탔던 전용열차 루트 점검 정황

“거리 감안해 항공기 이용 가능성 높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차 북미 정상회담(27~28일)이 열리는 베트남 하노이에 비행기가 아닌 열차를 타고 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전용기인 참매1호나 중국 민항기 등 항공편을 이용할 가능성이 여전히 높지만, 열차 이용을 검토하는 듯한 정황도 포착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의 의전을 총괄하는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 일행은 17일 하노이 북부의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랑선성을 둘러봤는데,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의 열차 방문을 염두에 둔 사전 조사라는 해석이 나온 것이다. 열차를 타고 중국을 거쳐 베트남에 갈 경우 랑선역에서 내려 차량으로 하노이로 이동하는 게 최단 코스다.

김 위원장의 할아버지인 김일성 주석은 1958년 베트남을 방문했을 때 열차를 이용했는데, 그런 할아버지의 모습을 북한 주민들에게 떠올리게 함으로써 자신의 정통성을 과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 경우 열차를 타고 중국의 주요 대도시를 방문하면서 중국의 경제개발상을 직접 살펴보는 부수적 효과도 거둘 수 있게 된다.

김 부장이 지난 15일 평양발 중국 국제항공편으로 베이징 서우두공항에 도착한 뒤 광저우로 이동해 현지에서 1박을 하고 하노이로 향한 점도 거론된다. 베이징에서 하노이까지 직항노선이 있지만 광저우를 찾은 것이다. 광저우는 1958년 11월 김 주석이 베트남을 처음 방문할 때 거쳤던 경로다. 당시 김 주석은 열차를 이용해 광저우까지 간 뒤, 영접 나온 베트남 인사들과 함께 특별기에 올라 하노이로 향했다. 김 부장이 이 루트를 점검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평양에서 광저우까지 자신의 전용열차를 이용할 수 있지만 중국 고속철(高鐵·가오티에)을 이용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고속철로 베트남 국경인 랑선까지 이동해 전용차로 하노이까지 3시간여 이동하는 경로도 가능하다.

하지만 김 위원장이 열차로만 이동할 경우 평양부터 60시간 이상이 걸려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많다. 광저우가 단지 김 위원장의 전용기 참매1호의 중간 기착지로 활용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평양에서 하노이까지의 비행거리는 2760㎞로 3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참매1호는 1만㎞까지 비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김 위원장이 북미 및 남북 정상회담에서 그간 실리적이고 실용적인 모습을 보였다”며 “따라서 거리를 감안해 항공기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고 안전을 생각해 중국 비행기의 활용도 고려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9-02-18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