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채동욱 사퇴에 무반응…‘불가피한 수순’ 인식

靑, 채동욱 사퇴에 무반응…‘불가피한 수순’ 인식

입력 2013-09-13 00:00
수정 2013-09-13 16: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식반응 안내놔…일각선 “검찰총장이 그냥 공직자인가”

청와대는 13일 채동욱 검찰총장의 전격 사의표명을 담담하게 지켜봤다. 입장을 묻는 언론의 질의가 쇄도했지만 청와대는 공식 반응을 즉각 내놓지 않았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채 총장의 퇴진이 ‘불가피한 수순’이라는 게 대체적 인식인듯 했다.

한 관계자는 “공직자가 논란에 휩싸이면 장관이 감사관을 투입해 조사하는 것”이라며 “청와대는 현 사태에 대해 걱정이 많다. 의혹이 커지고 있으니 빨리 진실이 밝혀져야 한다”고 말했다.

법무부가 이날 ‘혼외 아들’ 논란이 제기된 채 총장에 대해 전격 감찰에 착수한 직후의 언급이다.

”더이상 논란을 방치할 수 없고 조속히 진상을 밝혀 논란을 종식시키고 검찰 조직의 안정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법무부 발표 내용과 같은 맥락이다.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는 “채동욱 개인과 한 신문의 다툼이라고 해도 사회적 의미가 크지 않은가. 검찰총장은 공직자도 그냥 공직자가 아니라 사정기관의 총수”라며 “빨리 가부가 밝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감찰 착수에 대한 법무장관의 독자판단 여부에 대해 “잘 모르겠지만 혼자 결정한 것이겠나”라고 반문, 여운을 남겼다.

청와대 내에서는 박 대통령이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가 열린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머물던 지난 6일 이 사건의 보도 직후부터 채 총장이 오래 버티기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류가 감지됐다.

박 대통령의 해외순방 중 터져나온 이 사건은 실제 청와대 관련 라인을 통해 박 대통령에게 상세히 보고된 것으로 알려졌다.

채 총장은 새 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 3월15일 검찰총장에 내정될 당시 ‘특수통’으로 소신있는 검사라는 점이 부각된 바 있다. 심지어는 민주당도 ‘채동욱 검찰총장 체제’에 대한 기대를 숨기지 않았다. 국회 인사청문회 당시 “거의 도덕성에 하자가 없다”는 평가가 민주당 위원들한테서 이구동성으로 나왔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그는 전두환 전 대통령 비자금 수사와 CJ그룹 수사 등에서 급피치를 올렸다. 그러나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 수사에 이르러 결국 여권에 부담을 준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흘러나왔다.

이 사건 과정에서 황교안 법무장관과 채 총장이 원세훈 전 원장에 대한 신병처리와 법적용 등을 놓고 심하게 갈등했다. 야당은 ‘국정원 댓글 사건’을 고리로 박근혜 정부의 정통성 공세를 취했다.

이 때부터 채 총장에 대한 청와대의 기류도 떨떠름해졌다는게 대체적 관측이다.

곽상도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결국 낙마한 것이나 검찰총장과 법무장관을 역임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의 기용도 그간 청와대의 원활하지 못했던 검찰 통제를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언론의 관측이 나왔다.

아울러 김학의 전 법무차관과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 등에 이어 이번 사건이 진위를 떠나 여성과 관련한 ‘추문’이라는 점도 청와대를 불편하게 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