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미르재단 의혹’ 등 비판…“北, 대화 위해 준 돈으로 핵 개발”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안종범(가운데) 청와대 정책조정수석과 우병우(왼쪽 두 번째) 민정수석이 22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이날 청와대는 안 수석이 미르·K스포츠재단에 기부하도록 기업에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일축했으며 안 수석에 대해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이 감찰 활동을 벌였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특별감찰관이 감찰 개시를 보고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이어 박 대통령은 “제가 지진 피해 현장을 방문했을 당시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논란을 만들고 있는 것에 대해 비통한 마음이었는데 대통령인 저는 진심으로 국민들을 걱정하고 국민들을 위해 일하며 남은 임기를 마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한 일간지가 박 대통령의 지난 20일 경주 지진피해 현장 방문 사진을 실으면서 마치 박 대통령이 신발에 흙을 묻히지 않기 위해 멀리서 손을 뻗어 주민과 악수하는 것처럼 설명을 붙여 보도한 것을 비판한 발언으로 보인다. 사실 확인 결과 주민들이 “복구 중인 흙이니 밟지 말라”고 해 박 대통령이 부득이 밟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박 대통령은 대북 대화론에 대해 “대화를 위해 줬던 돈이 핵 개발 자금이 됐으며 협상하겠다고 시간을 보내는 동안 북한은 물밑에서 핵 능력을 고도화하는 데 그 시간을 이용했고 결국 지금과 같은 결과를 초래한 것”이라며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햇볕·대화정책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이제 북한은 더이상 핵 포기를 위한 대화의 장에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북한 김정은이 수해 복구보다 5차 핵실험에 매달리고 그것도 모자라 신형 로켓 엔진 시험에 성공했다고 좋아하는 것을 보면 북한 주민의 삶은 아랑곳하지 않고 오직 정권 유지와 사리사욕만 생각하는 현실이 기가 막힐 뿐”이라고 비난했다.
박 대통령은 “오늘 새벽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 동결에 따라 12월 금리 인상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최고 수준의 대응 태세를 지시했다. 또 금융·공공노조의 연쇄파업 결정과 관련해 “국민을 볼모로 제 몸만 챙기는 기득권 노조의 퇴행적 행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불법 행위에는 적극 대응해 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김상연 기자 carlos@seoul.co.kr
2016-09-23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