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평창올림픽을 개막식을 200일 앞둔 24일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에서 열린 ’2018 평창올림픽을 준비하는 사람들’ 행사에 참석했다. 문 대통령이 행사도중 옆 김연아 전 국가대표 피겨스케이팅 선수와 인사를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문재인 대통령이 평창올림픽을 개막식을 200일 앞둔 24일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에서 열린 ’2018 평창올림픽을 준비하는 사람들’ 행사에 참석했다. 문 대통령이 행사도중 옆 김연아 전 국가대표 피겨스케이팅 선수와 인사를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리조트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G-200 평창을 준비하는 사람들’ 행사의 하나인 ‘강원도 음식 나누기’ 세션에서 “북한의 결단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 우리는 성급하게 기대하지도, 그렇다고 비관할 필요도 없고 마지막 순간까지 문을 열어놓고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사실 이 부분은 우리는 문을 활짝 열었다. IOC(국제올림픽위원회)도 북한이 참가하도록 문을 열었고 이제 북한의 결단만 남았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평창 동계올림픽에 이어 2020년에는 일본에서 하계올림픽을 하고 2022년에는 중국에서 동계올림픽이 열린다”며 “이렇게 한·중·일에서 연이어 열리는 동·하계 올림픽이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의 평화를 강고하게 만드는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행사에 참석한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씨가 ‘평창 동계올림픽에 북한팀이 온다면 개마고원 감자를 좀 가져왔으면 한다’고 하자 “황교익 선생 말대로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이 개마고원 감자와 강원도 감자가 만나는, 한민족 축제의 장이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감자전과 산나물, 메밀 등 강원도 대표 음식을 거론하며 “맛있고, 특히 산나물 중에는 곤드레가 최고다. 아주 좋아한다. 뿐만 아니라 칼로리가 적어서 살도 안찌고 아주 좋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