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이 있어서도 안 되지만 피해자가 2차 피해를 겁내서 문제 제기를 못한다는 것은 더더욱 있을 수 없다”면서 ”피해자가 두려움 없이 고충을 말할 수 있고 적절한 대응이 이뤄지는 직장 내부시스템과 문화가 정착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문 대통령, 국무회의 주재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7.11.21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문 대통령, 국무회의 주재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7.11.21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21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을 막론하고 직장 내 성희롱과 성폭력이 끊이지 않아서 국민의 우려가 매우 크다”면서 이와 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직장 내 성희롱은 우월적 지위가 배경이 되기 때문에 신고를 못 하고 피해가 지속하는 경우가 많다”며 “여성가족부 조사에 의하면 성희롱 피해자의 78.4%가 ‘참고 넘어갔다’고 하고 그 이유로 ‘문제를 제기해도 해결될 것 같지 않아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48.2%, 거의 50%가량 된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또 “성희롱 피해 경험자 중 직장 내 기구를 통해 공식적으로 처리한 사람은 0.6%로 1%도 안 되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특히 공공기관들부터 기관장들의 인식전환과 더욱 엄정한 조치들이 필요하다”며 “성희롱과 성폭행 예방은 물론 피해자가 피해를 입고도 문제제기를 하지 못하는 분위기나 문화부터 시급히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 그 점에서도 기관장이나 부서장의 책임을 물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