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시 주석 새해 첫 통화
김정은 ‘선대선’ 원칙 적극적으로 해석中 봉쇄 전략 펴는 바이든정부에 대응
내년 수교 30년… ‘문화교류의 해’ 선포
“협력 활성화로 향후 30년 청사진 구상”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새해 첫 정상통화를 약 40분간 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시 주석의 이같은 발언은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이달 초 제8차 당대회에서 대외 입장으로 제시한 ‘강대강, 선대선’ 원칙을 적극적으로 해석한 것으로, 북한의 최대 우방국인 중국이 먼저 나서 “남북·북미 대화를 지지”하고 긍정적인 신호를 보냄으로써 북한의 도발을 조기에 차단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아울러 “정치적 해결을 위한 한국의 역할을 중시한다”고 함으로써 ‘북한 문제는 우리가 관리할 테니 한국은 우호적 관계에 힘써 달라’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중국 입장에서는 미국이 트럼프 행정부에 이어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강력한 대중 봉쇄 전략을 펴고 있고, 동맹인 한국에도 동참을 요구하고 상황이어서 초기에 한국과 원만한 관계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두 정상은 시 주석의 방한이 조기에 성사될 수 있도록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하기로 했다.
또 내년 한중수교 30주년을 앞두고 올해와 내년을 ‘한중 문화교류의 해’로 선포하고 문화교류도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한중 정상이 문화교류 활성화에 대한 적극적 의지를 표명한 만큼, 2017년 3월 주한미군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이후 시작된 문화콘텐츠 수출 및 교류 단절 등 ‘한한령’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리란 기대감이 나온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양 정상은) 양국 간 교류·협력이 더욱 활성화되고, ‘한중관계 미래발전위원회’를 통해 향후 30년의 발전 청사진을 함께 구상해 나가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한중관계 미래발전위원회’는 양국의 전문가들이 모여 수교 30주년 계기 한중관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로드맵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해 11월 26일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 출범시키기로 합의한 바 있다.
문 대통령 취임 후 한중 간 정상 통화는 이번이 여섯 번째로, 지난해에는 코로나19 협력 대응을 위해 2월 20일과 5월 13일 두 차례 통화했다. 이번 통화는 지난해 시 주석이 한국을 방문하기로 했으나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성사되지 못하자 양국 외교 라인에서 자연스레 정상 간 통화를 추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21-01-27 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