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준(47) 케임브리지대 경제학과 교수가 지난 10일 영국 일간 가디언 기고를 통해 G20 서울 정상회의가 공정하고 효과적인 개발의제를 논의하는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경제학과 교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경제학과 교수
‘지금은 워싱턴 컨센서스를 거부할 때’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장 교수는 “나의 고향 서울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는 상징적인 중요함이 있다.”라고 전제하고 “그것은 G20이 G7을 대체한 뒤 G7 국가 밖에서 세계를 주도하는 지도자들이 만나는 첫 회의이기 때문”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G20 회의의 당면과제와 관련해서는 “G20은 개발 의제, 특히 세계 최빈국에 대한 개발문제를 새로운 논점으로 찾고 있다.”면서 “그러나 개발 의제를 환영하기에 앞서 G20이 추진해야 할 개발이 어떤 것인지 자문해 볼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전후 한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을 일례로 들었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개발 기적의 하나를 일궜다.”면서 50년 전만 해도 1인당 국민소득이 당시 가나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50파운드에 불과했던 것이 오늘날에는 1만 2000파운드로 포르투갈, 슬로베니아와 같은 수준이 됐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한국의 눈부신 발전은 경제개발을 목표로 한 인프라, 보건, 교육 등에 대한 투자가 배경이 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경제개발에 해악이 되는 정책들도 많이 실행했다.”면서 수출 보조금과 보호주의, 외국인 직접 투자에 대한 강력한 규제, 필요 이상의 공기업 활동, 특허권 및 지적재산권 보호가 부족했던 점, 국제 및 국내 금융부문에서의 강한 규제 등이 그것들이라고 꼽았다.
장 교수는 한국을 비롯한 G7 국가들은 개발 의제에 대해 논의하는 이번 회의에서 지난날의 ‘비정통적’ 정책들은 심각하게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서울회의는 개발문제에 있어 역사에 기록될 만한 접근이 가능하다며 “한국 역사에 기반한 ‘서울 컨센서스’는 이미 신뢰를 잃은 (1990년대 미국식 시장경제의 기준을 전 세계에 확산시키는) ‘워싱턴 컨센서스’보다 더 공정하고 효과적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번 G20 개발의제에서 산업정책이 간과된 점, 토지개혁과 자산 재분배를 위한 조치들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 등은 아쉽다고 지적했다.
황수정기자 sjh@seoul.co.kr
2010-11-1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