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사업가 옛 운전기사 일당에 납치 피살

40대 사업가 옛 운전기사 일당에 납치 피살

입력 2010-03-07 00:00
수정 2010-03-07 10: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0대 사업가를 납치·살해한 일당 6명 중 5명이 경찰에 붙잡혔다.

 4년 전 피해자의 운전기사로 일한 40대 남자와 공범들은 납치 직후 피해자 측으로부터 3억원을 건네받은 다음 검문망을 피할 목적으로 미리 빌려둔 전세버스에서 피해자를 살해하고 아산방조제에 시신을 유기했다.

 ◇범행

 경기도 안산상록경찰서는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출근하던 사업가 이모(46)씨를 납치·살해한 혐의(강도살인)로 김씨(43)와 김씨의 형(52) 등 3명을 구속하고 또 다른 김모(38)씨 등 공범 2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고 7일 밝혔다.경찰은 달아난 허모(43)씨를 지명수배했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 형제는 지난달 11일 오전 8시30분께 이씨가 살고 있는 안산시 사동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출근하는 이씨를 그의 에쿠스 승용차로 납치해 3억원을 요구했다.

 이후 이씨는 자신의 회사 기획실장으로 있는 조카에게 전화를 걸어 ‘사업관계로 급히 돈이 필요하니 현금 3억원을 준비하라’고 말했다.

 김씨의 형은 오후 1시 안산 상록수역에서 이씨 조카를 만나 이씨와 전화 통화를 하게 해 납치 협박사실을 눈치채지 못하게 안심시킨 다음 돈 가방을 넘겨받았다.

 돈을 챙긴 김씨 형제는 오후 2시 시흥 물왕저수지로 이씨를 끌고 간 뒤 검문망을 피하려고 미리 빌려둔 45인승 전세버스 타고 기다리던 공범들과 함께 이씨를 버스에 옮겨 태웠다.

 이어 대부도로 이동한 이들은 버스 안에서 이씨를 살해하고 시신의 목과 다리에 각각 15㎏짜리 아령을 매달아 평택 아산방조제 교각에서 물 속에 던져 유기했다.

 이들은 살해 닷새 만인 지난달 16일 오후 2시께 서울시 한 공중전화를 이용해 이씨 집에 전화를 걸어 “이씨가 집에 곧 들어갔다가 바로 나가야하니 회사 근처 주차장에 둔 차를 세차해 집앞 주차장에 가져다 놓으라고 했다”고 가족을 안심시킨 후 연락을 끊었다.

 빼앗은 돈 3억원은 김씨 형제가 1억원,나머지 범인들이 2억원을 나눠 채무변제와 생활비 등으로 사용했다는 진술을 받았다고 경찰은 밝혔다.

 ◇검거

 출근한다고 집을 나간 아버지가 이틀이 지나도록 연락이 없자 이씨의 딸이 13일 오후 1시 경찰에 미귀가 신고했다.

 경찰은 사건 당일 휴대전화 위치추적 등으로 확인된 이씨 행적과 4년 전 운전기사로 일했던 김씨의 동선이 일치하는 점에 주목,추격 끝에 김씨 형제를 사건 발생 15일 만인 지난달 26일 안산과 안양에서 각각 검거했다.

 조사 결과 김씨는 2006년 이씨의 운전기사로 1년여간 일했고 이후 변변한 돈벌이 없이 생활해 형편이 넉넉지 않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다 최근 이씨를 납치해 돈을 뺏기로 하고 자신의 형을 끌어 들였고 형이 6년 전부터 알고 지낸 김모(36)씨 등 4명에게 제안해 함께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김씨 등을 상대로 정확한 범행 동기와 여죄 등을 추궁 중이다.

오금란 서울시의원 “실질적 수요 반영한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체계 개편 필요”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오금란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노원2)은 지난 10일 서울시 복지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실질적으로 돕는 보조기기 지원체계는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해 개선돼야 한다며, ‘휠체어를 탄 채로 탑승할 수 있는 장애인용 차량 제조 및 개조 지원’과 ‘휠체어 전용 백팩의 보조기기 편입’, ‘보완대체의사소통(ACC) 등을 제안했다. 1년에 2회, 새로운 보조기기를 등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필요로 하는 보조기기를 등록하기는 매우 어렵고, 반영되는 예산도 매우 부족하여 시대를 반영하는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장애유형별 요구가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상황 또한 지적했다. 오 의원은 올해 9월 노원구에서 시행한 뇌병변장애인용 차량 개조 지원 사례를 소개하며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것조차도 스스로 할 수 없는 덩치 큰 뇌병변장애인을 보호자가 직접 안아서 들어올리지 않고 휠체어에 탄 상태로 탑승하는 차량으로 개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야말로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한 보조기기의 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 의원은 “차 한 대 개조에만 약 6000만원이 소요돼 사실상 SUV 신차 구입비용과 비슷
thumbnail - 오금란 서울시의원 “실질적 수요 반영한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체계 개편 필요”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