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1단과 2단이 조립된 나로호 발사체가 발사대로 이송한 뒤 발사대의 정보를 지상에서 알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를 케이블마스트와 연결했는데 약간 불안정한 현상이 발견됐었다.재점검을 했는데 현상이 없어지지 않아서 공학적 절차를 따라 모든 조치를 취했고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전기신호가 불안정했던 이유는.
▲이를 두고 큰 의문점이 생긴 것이라고 볼 수 없다.컴퓨터와 프린터를 연결할 때도 커넥터의 접촉 불량 등이 있을 수 있지 않나.1단 발사체와 케이블마스트를 연결했는데 불안정해 일단 분리했다.육안으로 확인하고 나서 케이블마스터 쪽의 커넥터를 또 확인했다.전기적인 신호를 다 체크하고 그 뒤에 클리닝 작업을 했다.재결합해서 전기적인 시험을 완료했다.
이미지 확대
<나로호> ‘내일이면 우주로’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가 8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 기립해 있다. 고흥<나로도>=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나로호> ‘내일이면 우주로’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가 8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 기립해 있다. 고흥<나로도>=연합뉴스
-전날 문제가 있었는데 오늘 리허설에서 어려움 없었나.
▲모든 것이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기립이 어려울 것이라고 한지 몇분 뒤 기립이 시작됐는데.
▲현장 기술자들이 전기적인 신호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자꾸 불안정하게 나오니까 힘들겠다고 판단한 것이다.그러면서 누워 있는 발사체를 세운 뒤 점검해 보자고 했다.커넥터가 상단에 있는데 연결하는 핀 수가 수천개다.수천개를 하나하나 다 확인해야 하니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면 누운 상태에서는 문제 해결이 안됐는가.
▲눕혀 있는 상황에서도 문제없었다는 이야기다.수평상태에서 점검했고,공학적으로 점검한 뒤 발사체를 세워서 점검한 것이다.
-이번 오류는 러시아 측이 제작한 부분에서 나온 것인가.
▲아시다시피 1단은 러시아가 관여하는 부분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