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급 조선불화 400년만에 고국 품으로

보물급 조선불화 400년만에 고국 품으로

입력 2010-11-03 00:00
수정 2010-11-03 0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6세기 ‘감로도’… 교토 류간사 주지 기증

일본 교토의 한 사찰에 있던 보물급 조선 전기 불화 1점이 소장자의 기증으로 400년 만에 고국에 돌아왔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최광식)은 2일 교토 류간사(龍岸寺)주지인 에지마 고도(왼쪽·63)가 기증한 16세기 대형 조선 불화를 공개했다. 부처의 수제자인 목련존자가 아귀도에서 먹지 못하는 고통에 빠진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의식을 베푸는 장면을 그린 감로도(甘露圖·오른쪽)로, 전체 크기 322×281㎝, 화면 크기 240×245㎝에 이른다.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연합뉴스


●보석사 감로도보다 제작시기 앞서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보석사 감로도(1649년)보다 제작 시기가 앞선 것으로 추정돼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 지정이 유력할 것으로 박물관은 내다봤다. 현재 남아있는 16세기 감로도는 국내외에 5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난해 현존 최고(最古)감로탱화로 알려진 ‘감로왕도’(1580년 추정)가 경매에 부쳐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기증 불화는 겐로쿠(1688~1703)시대부터 류간사에 소장되어 온 것으로 전해진다. 에지마 주지는 이 그림이 조선에서 왔다는 사실을 알고 “언젠가 고향으로 돌아가야 하지 않겠나” 생각해오던 중, 지난 여름 감로탱화의 권위자인 김승희 경주박물관 학예실장과의 만남에서 이 불화의 가치를 전해들은 뒤 기증 의사를 굳혔다고 한다.

이미지 확대
교토 류간사(龍岸寺)주지인 에지마 고도 연합뉴스
교토 류간사(龍岸寺)주지인 에지마 고도
연합뉴스
●우리 문화재 환수 중요한 계기 될 듯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 9월 초 사찰을 방문해 기증서를 받은 뒤 10월 2일 국내로 들여와 응급 보존처리와 수입등록을 마쳤다. 불화는 화면 일부에 긁힘과 일부 결손 부분이 있는 점을 제외하면 대체로 양호한 편이다.

박물관 측은 “일본으로 유출된 우리 문화재가 일본인 소장자의 자발적인 의사로 우리나라로 돌아오는 뜻깊은 사례로, 향후 국외 유출 문화재의 환수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물관은 내년 조선 불화 특별 공개회때 에지마 주지를 초청해 감사패를 전달할 계획이다. 한편 국립중앙박물관은 개관이래 23명의 일본인으로부터 총 1444점의 문화재를 기증받았다고 밝혔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11-0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