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협’ 창립 20주년 기념 수요시위

‘정대협’ 창립 20주년 기념 수요시위

입력 2010-11-17 00:00
수정 2010-11-17 15: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정신대문제협의회(정대협) 창립 20주년을 기념하는 정기 수요시위가 17일 정오 서울 종로구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렸다.

1992년 1월 시작한 수요시위는 이날로 944차를 맞았다.

이미지 확대
한국정신대문제협의회 20주년 한국정신대문제협의회(정대협) 창립 20주년을 기념하는 정기 수요시위가 열린 17일 정오 서울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위안부 할머니들과 정대협 대표들이 함께 축하떡을 자르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정신대문제협의회 20주년
한국정신대문제협의회(정대협) 창립 20주년을 기념하는 정기 수요시위가 열린 17일 정오 서울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위안부 할머니들과 정대협 대표들이 함께 축하떡을 자르고 있다.
연합뉴스


 정대협은 이날 성명서에서 “20년 역사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변함없는 외침과 정당한 요구 앞에 일본 정부는 변함없는 부인과 회피로 일관하며 미봉책으로 중대한 범죄를 무마해 왔다”고 비판했다.

 이어 “하지만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내외의 뜨거운 연대는 피해자들로 하여금 ‘부끄러운 것은 내가 아니라 일본정부이고 한국정부다’라고 외치게 했고,할머니들의 당당한 모습이 세계 곳곳에 울려 퍼지는 평화의 메시지가 됐다”고 자평했다.

 정대협은 일본과 한국 정부에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법적 배상과 외교적 해결을 촉구하면서 문제가 해결되는 날까지 국제사회와 연대해 변함없이 싸울 것을 다짐했다.

 이날 집회에는 정대협 쉼터와 광주 나눔의집에 머무는 피해자 할머니 7명과 여성단체,수녀회,시민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정대협 창립 당시 함께 했던 민주당 이인영 최고위원도 이 자리를 찾아 인사했다.

 18일 열리는 국제 심포지엄에 참석하려고 온 중국과 일본,미국,독일의 연구원과 교수,사회단체 관계자들도 함께 했고,위안부 피해자를 다루는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대학생들과 국사 선생의 추천으로 수원에서 온 고등학생들도 있었다.

 참가자들은 숨진 위안부 피해자들의 영혼을 상징하는 노란 나비 손팻말을 들었고,20여장의 사진을 통해 정대협 20년사를 돌아보는 시간도 가졌다.

 앞서 오전 11시에는 여성단체가 일본의 고교무상화 대상에 조선학교를 포함할 것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연 데 이어 ‘조선학교를 차별하지 말고 평등한 교육환경을 만들어 달라’는 내용의 성명서를 일본대사관에 전달했다.

심미경 서울시의원, 경희여중 학교시설 안전 실태 점검

심미경 서울시의원(동대문2·국민의힘)이 전국에 폭염과 호우가 반복되는 가운데 동대문구 경희여자중학교(이하 경희여중)를 방문해 학교시설 안전 실태 점검에 나섰다. 경희여중은 현재 372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학생 안전을 위해 체육준비실 바닥 개선 공사, 소방시설 개선 공사, 교실 및 복도 바닥 개선 공사, 출입문 교체 개선 공사 등을 요청하고 있다. 심 의원은 안전 실태 점검에 나선 이유로 “유례없는 폭염과 폭우가 교대하면서 학교 안전시설에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현장의 시급한 안전시설 개선 조치뿐만 아니라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예산 확보를 위한 노력도 멈추지 않을 것”이라면서 관내 학교 안전 실태 점검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는 의지를 밝혔다. 이날 경희여중 교장은 “혹서·혹한으로 실외수업이 어려운 날이 많지만 실내체육관이 없는 형편으로 지하 트레이닝장을 체육교실로 이용하다보니 습기로 인한 곰팡이 냄새와 누수로 인한 악취가 발생해 개선공사가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시급성이 높은 개선 사항들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다. 심 의원은 앞서 7월, 서울 전역에 폭염경보가 이틀째 지속되자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과 함께 동대문구 이문초등학교를 방문해 현장
thumbnail - 심미경 서울시의원, 경희여중 학교시설 안전 실태 점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