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가구 중 6가구꼴 ‘부채’…평균자산 2억7268만원
우리나라 국민은 집집마다 평균 4200여만원의 빚을 안고 산다. 하지만 이것은 전체 평균치이고 부채가 있는 가구만 떼어서 계산하면 평균 7000만원대로 치솟는다. 빚은 집 장만에 나서는 30대에 큰 폭으로 늘어 자녀들이 결혼하는 50대까지 계속 불어난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은 올 2월 말 기준으로 가계 자산과 부채 규모, 재무 건전성 등을 조사한 ‘2010년 가계금융’ 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3개 기관 공동으로 올해 처음 조사했다.
가구당 평균 자산은 2억 7268만원, 평균 부채는 4263만원이었다. 이에 따라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은 평균 2억 3005만원이다. 중위가구는 1억 1674만원으로 집계됐다. 자산 가운데 부동산이 2억 661만원으로 전체의 75.8%를 차지했다. 금융자산은 5828만원으로 21.4%였다. 부채의 67.6%(2884만원)는 은행권 등에서 빌린 금융부채였고 나머지 32.4%(1380만원)는 전·월세 등 임대보증금이었다.
부채가 있는 가구는 전체의 59.5%로 다섯 집 중 세 집 꼴이었다. 이들만 추려서 부채규모를 집계하면 가구당 평균 7165만원(금융부채 4846만원)에 달했다. 빚을 지고 있는 가구의 평균부채는 20대까지 1920만원으로 비교적 양호하다가 30대 들어 5632만원으로 거의 3배가 됐다. 이후 40대 7513만원, 50대 8806만원 등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60대 이상은 7613만원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결혼한 뒤 집을 구하기 시작하는 30대에 빚이 큰 폭으로 증가해 자녀들을 결혼시키는 50대에 최고점에 이른 뒤 차츰 감소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10-12-3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