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원전 안전조사 점검단이 11일 영광원전에 대한 안전점검에 들어갔다.
영광원자력본부에 따르면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원자력안전위원회를 비롯 산.학.연 민간 전문가 40여 명으로 구성된 정부 안전 점검단은 고리, 월성, 울진에 이어 마지막으로 이날부터 13일까지 3일간 영광원전 1~6호기에 대해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점검은 지진 및 대형 지진해일의 여파로 원전의 전력이 끊기고, 이에 따라 노심 용해(핵연료봉이 녹는 현상) 등 일본 후쿠시마 원전 참사와 같은 대형 사고가 발생한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대비 현황을 살피는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지진 및 해일에 의한 구조물 안전성 여부, 침수 발생 시 전력ㆍ화재ㆍ냉각계통의 취약성 여부, 중대사고 발생 시 대응절차의 적절성 및 실현 가능성, 비상대응체계의 적절성 및 실현가능성 등이 점검 대상이다.
이와 함께 점검단은 화재 방호 계통 운영상태 및 취약설비, 사용 후 핵연료 저장 건전성 유지 대책, 대체교류형 디젤발전기 및 소외 전원설비 등 비상전원 건전성, 전원상실 시 복구 방안 및 비상전원 침수대비 능력 등을 점검한다.
이밖에 방사선 비상계획, 중대사고 관리계획, 지진 시 비상시설 가용성, 방재 장비 확보 가능성, 비상방송 통신 등 30여 개 항목을 점검하게 된다.
특히 점검단은 20년이 넘게 운전 중인 영광원전 1,2호기에 대해 정밀 조사를 할 계획이다.
한편, 영광군은 이날 점검에 앞서 비상 시 대피로가 될 원전 앞 홍농-법성 간 도로 확장 공사, 내진 설계가 된 대피 공간 확보, 방재 훈련 등에 대한 예산 및 인력 지원 등을 점검 사항에 포함해 줄 것을 점검단 측에 건의했다.
영광원전 관계자는 “이번 점검은 원전의 안전성을 평가받는 동시에 미흡한 점을 개선할 기회가 될 것이다”면서 “점검 결과는 앞서 실시한 다른 원전의 점검결과와 함께 교과부에서 일괄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영광원자력본부에 따르면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원자력안전위원회를 비롯 산.학.연 민간 전문가 40여 명으로 구성된 정부 안전 점검단은 고리, 월성, 울진에 이어 마지막으로 이날부터 13일까지 3일간 영광원전 1~6호기에 대해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점검은 지진 및 대형 지진해일의 여파로 원전의 전력이 끊기고, 이에 따라 노심 용해(핵연료봉이 녹는 현상) 등 일본 후쿠시마 원전 참사와 같은 대형 사고가 발생한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대비 현황을 살피는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지진 및 해일에 의한 구조물 안전성 여부, 침수 발생 시 전력ㆍ화재ㆍ냉각계통의 취약성 여부, 중대사고 발생 시 대응절차의 적절성 및 실현 가능성, 비상대응체계의 적절성 및 실현가능성 등이 점검 대상이다.
이와 함께 점검단은 화재 방호 계통 운영상태 및 취약설비, 사용 후 핵연료 저장 건전성 유지 대책, 대체교류형 디젤발전기 및 소외 전원설비 등 비상전원 건전성, 전원상실 시 복구 방안 및 비상전원 침수대비 능력 등을 점검한다.
이밖에 방사선 비상계획, 중대사고 관리계획, 지진 시 비상시설 가용성, 방재 장비 확보 가능성, 비상방송 통신 등 30여 개 항목을 점검하게 된다.
특히 점검단은 20년이 넘게 운전 중인 영광원전 1,2호기에 대해 정밀 조사를 할 계획이다.
한편, 영광군은 이날 점검에 앞서 비상 시 대피로가 될 원전 앞 홍농-법성 간 도로 확장 공사, 내진 설계가 된 대피 공간 확보, 방재 훈련 등에 대한 예산 및 인력 지원 등을 점검 사항에 포함해 줄 것을 점검단 측에 건의했다.
영광원전 관계자는 “이번 점검은 원전의 안전성을 평가받는 동시에 미흡한 점을 개선할 기회가 될 것이다”면서 “점검 결과는 앞서 실시한 다른 원전의 점검결과와 함께 교과부에서 일괄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