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의 호우 특보 시스템이 바뀐다. 특보 발령 기준 시간을 기존 12시간에서 6시간으로 줄이고, 강우 강도도 호우주의보·경보 발령 기준에 포함시킨다. 기상청 진기범 예보국장은 “지구 온난화 등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호우 특보 기준 시간을 단축하는 등의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면서 기상청의 달라질 기상 예보 대책에 대해 소개했다.
이미지 확대
진기범 기상청 예보국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진기범 기상청 예보국장
→지난해 여름 게릴라성 호우가 잦았는데 올해는 어떤가.
-지난해에는 시간당 20~30㎜의 게릴라성 집중호우로 피해가 컸다. 집중호우를 쉽게 표현하자면 물이 흠뻑 젖은 수건을 꽉 짜는 것이다.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대기가 수증기를 많이 품어 수건이 커져 있다. 가능성은 있지만 세부적인 조건 때문에 올해 게릴라성 호우가 온다, 안 온다 말하기는 어렵다.
→그래도 대비는 필요하지 않은가.
-현재 12시간 기준으로 80㎜ 이상이면 호우주의보, 150㎜ 이상이면 호우경보를 발령하는데 이를 6시간으로 단축하고 강우 강도도 특보 발령 기준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발령 시간을 6시간으로 줄이면 보다 빨리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호우 특보 기준이 6시간으로 바뀌면 뭐가 달라지는가.
-지난해 게릴라성 호우가 퍼부었을 때 난리가 났었다. 그 때문에 욕도 많이 먹었다. 한 시간에 20~30㎜씩 비가 쏟아지면 피해가 발생하는데도 이게 현재 호우 특보·주의보 발령 기준에 못 미쳐 고민이었다. 그래서 이번에 기준을 현실에 맞게 바꾸자는 것이다. 6시간으로 기준을 바꾸면 지금까지 특보 발령 기준의 적용을 받지 않았던 게릴라성 집중호우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기상이변이나 재난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조치는 없나.
-온난화로 태풍의 강도가 강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연구를 좀 더 진행할 계획이다. 지난해 시범적으로 도입한 태풍 5일 예보를 올해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기존의 3일 예보에 비해 정확성은 떨어지지만 태풍의 큰 진행 방향을 알 수 있어 방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일본 방사성물질의 한반도 상륙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이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과학을 하는 입장에서 일본 방사성물질이 우리나라로 바로 넘어올 가능성은 아주 낮다고 본다.
제주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1-04-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