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우리나라 국민의료비가 국내총생산(GDP)의 10%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보건복지부는 향후 10년간의 국민의료비 변화를 추계한 결과 2020년 GDP의 8%에서 최대 11.2%까지 의료비로 지출할 수 있다고 9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보건의료미래위원회 제2차 회의에 지속가능한 보건의료정책 방향 논의의 근거자료로 제출됐다. 복지부에 따르면 2009년 국내 국민의료비는 73조 7000억원으로, GDP 대비 6.9% 수준이다. 전체 국민의료비 가운데 공적재원 비중은 58.2%로 전년 대비 2.3% 포인트 증가했다. 2007년 6.3%, 2008년 6.5%였던 GDP 대비 국민의료비가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2007년 8.6%, 2008년 8.8%를 나타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민의료비 비중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치지만 증가세는 더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국민의료비 추계는 모두 4가지 시나리오로 정리됐다. 가장 나쁜 상황에서는 국민의료비가 GDP의 11.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책 변수에 따라 10%와 9%, 8% 수준으로 예측되기도 했다. GDP 대비 11.2%의 상황은 현재 추세를 유지했을 때의 결과다.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의료비 지출 증가, 보장성 강화로 인한 건강보험 급여 확대 등 최근 10년간의 의료비 추이와 인구구조 변화가 앞으로도 계속되면 2015년에는 현재 OECD 평균인 8.8%에 이르고, 2020년에는 두 자릿수로 진입하게 된다. 이 경우 국민의료비 규모는 256조원에 이르고, 공적재원은 154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 가운데 건강보험 지출은 113조원 수준으로 추계됐다. 복지부는 다양한 정책변수 등을 고려, 이 자료를 8월까지 최종 정리할 계획이다.
이동욱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현재 8% 안팎인 일본 수준으로는 억제해야 하지만 산업 유발효과 측면도 있어 OECD처럼 9% 수준까지는 수용이 가능하다는 의견도 있다.”면서 “사회적 합의와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석기자 ccto@seoul.co.kr
[용어 클릭]
●국민의료비 한 나라 국민이 의료에 사용하는 화폐적 지출의 총합. OECD 건강데이터는 이를 경상의료비와 자본 형성을 더한 값으로 규정하고 있다.
2011-05-1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