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메시지 원조 ‘전보’는 살아있다

문자메시지 원조 ‘전보’는 살아있다

입력 2011-05-17 00:00
수정 2011-05-17 0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달 평균 20만건… 126년 명맥 이어

‘그때 그 노란 전보용지를 기억하나요.’

고시 합격이나 승진 때면 날아들던 ‘전보’는 국내 휴대전화 문자메시지(SMS)의 원조이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부터 마이피플, 카카오톡 등 스마트폰 메신저가 인기를 끌고 있지만 아날로그 통신 수단의 대표 주자인 전보는 끈질긴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16일 KT에 따르면 국내 전보 서비스는 올해로 126년째. 국내 전보 착신 건수는 하루 평균 7166건으로 한달 평균 20만건에 달한다. 곧바로 메시지를 주고받고 영상통화도 가능한 시대이지만 전보는 여전히 통신의 한 수단으로 애용되는 셈이다. 전보 비용은 전화나 팩스로 신청시 기본 50자가 제공되고 5글자가 추가될 때마다 100원씩 오른다.

물론 전보 이용 건수는 해마다 줄고 있다. 2006년 401만건에 달했던 전보는 휴대전화 SMS의 영향으로 2007년 370만건, 2008년 297만건으로 급감했다. 국내 스마트폰이 등장한 2009년 267만건에서 지난해 238만건으로 1년새 30만건이나 줄었다.

국내에서 전보를 가장 애용하는 고객은 누구일까. 지난해 기준으로 은행 등 금융권이 98만 4000건(47.0%)으로 전보를 가장 많이 썼다. 이어 정부·공공기관이 72만 2000건(34.5%), 일반 기업체가 22만 1000건(10.6%)으로 나타났다. 개인 고객은 전체의 2.1%인 4만 4000건에 불과했다. 고객별 전보 메시지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정부 및 공공기관의 발신 전보 내용은 당선, 취임 등 축하 메시지가 전체의 94.8%인 68만 4828건으로 압도적이었다. 일반 기업체도 승진, 취임 등의 축하 메시지가 전체의 89.9%에 달했다.

금융권의 전보는 그리 반갑지는 않다. 연체 안내문이나 미납·강제집행 최고장 등 채무 이행 등을 독촉하는 안내 전보가 전체의 52.2%인 51만 4000건에 이른다. 당선, 취임, 승진 등의 일반 축하 전보도 32만 9000여건으로 나타났다. 국내 전보 서비스는 KT만 담당하고 있다. 우체국은 전보와 비슷한 경조 카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잊고 지내던 은사나 지인들에게 짧은 사연이나 안부를 담은 전보를 보내면 어떨까. ‘아날로그 감성’이 추억을 되새기지 않을는지. 전보 서비스는 국번없이 115나 080-745-0115(팩스)로 신청하면 된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11-05-17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