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에 산부인과…의료관광 새 모델

호텔에 산부인과…의료관광 새 모델

입력 2011-06-16 00:00
수정 2011-06-16 09: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비즈니스호텔에 불임 전문 클리닉 개원중.러.동남아 고객 유입 기대…”높은 의료수준ㆍ비용 강점”

해외 의료관광객 10만명 시대를 앞두고 국내에 처음으로 호텔 건물에 불임 클리닉을 전문으로 하는 산부인과가 들어섰다.

최근 2∼3년 피부과 등 미용ㆍ성형 관련 병원이 호텔에서 개원했다가 실익이 없어 철수하는 등 병원-호텔의 네트워크 구축이 아직 초보단계인데, 산부인과는 ‘호텔 내 병원’ 모델로 성공하기에 강점이 많다는 분석도 나온다.

16일 지자체와 의료계에 따르면 이달 초 서울 마포구 공덕동에 있는 특급 비즈니스호텔인 롯데시티호텔에 의학박사 여성전문의 3명이 운영하는 산부인과 ‘서울 라헬 여성의원’이 문을 열었다.

이 병원은 부인과 질환 이외에 체외수정(시험관아기), 인공수정 등을 담당하는 난임 치료가 전문으로, 국내 환자뿐 아니라 한국을 찾은 외국인까지 대상으로 삼고 있어 의료 관광의 새 모델이 되고 있다.

불임치료는 1978년 영국에서 세계 최초로 시험관아기 임신이 성공한 지 7년 만인 1985년에 우리나라에서도 성공해 전 세계적으로 한국 기술이 최상위권으로 인정받는 분야다.

특히 의료기술이 덜 발달했고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러시아, 중국, 동남아시아 국가를 위주로 수요가 점점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비용 측면에서도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불임치료를 받는 데 500만원 정도 들기 때문에 많게는 6배까지 비용이 차이 나는 미국 등 의료 선진국에서도 환자를 유치하는데 강점이 있다.

지난 2주간 병원에는 이 호텔에 묵은 영국, 독일, 일본 국적의 외국인들이 찾아오는 등 하루 평균 국내외 환자 40~50명이 방문했다.

불임 등 산부인과 치료는 연속적이어야 하고 절대적인 안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늑한 호텔방을 병실로 활용할 수 있는 ‘호텔 내 산부인과’가 좋은 결합이라는 예상이 적중한 것이다.

시험관아기 시술은 배란을 유도해 난자를 뽑아내고 시험관에서 정자와 수정을 시킨 뒤 자궁에 집어넣어 착상시키기까지 통상 2주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호텔에 머무르면서 시술받기에 부담없는 기간이기도 하다.

이희선(43) 원장은 “(수정란) 이식을 하고 푹 쉬길 원하는 경우가 많은데 병원에 입원하는 게 아니라 호텔에 머무르면서 치료받을 수 있다는 점을 환자들이 가장 좋아한다”고 말했다.

이어 “호텔에 식당가, 카페, 스파, 헬스클럽 등 편의시설이 모두 갖춰져 있어 불편 없이 건물 내에서 생활할 수 있는 점도 큰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의료관광 분야에서도 산부인과의 발전 전망을 낙관하고 있다.

보건산업진흥원 국제의료사업단 장경원 단장은 “산부인과는 여성암 등 중질병이나 불임시술에서 특화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며 “불임치료 수요가 높아진 데다 우리나라 불임시술 기술이 세계에서 거의 톱 수준이라 선진국에서도 불임시술을 받으려고 산부인과를 찾는 의료관광객이 많다”고 말했다.

한국관광공사 의료사업단 진수남 단장은 “우리나라에서 이름난 병원들은 불임치료 성공률이 40% 이상으로 세계적으로 최상위 수준”이라며 “관광공사에서도 산부인과 의료관광과 관련해 불임 쪽을 특화한 상품을 개발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