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잠실야구장서 석면 검출 확인

서울시, 잠실야구장서 석면 검출 확인

입력 2011-10-05 00:00
수정 2011-10-05 14: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시리즈 전까지 그라운드 흙 전면 교체키로

서울시 조사 결과 잠실야구장의 그라운드에 석면 성분을 포함한 토양이 깔린 것으로 확인됐다.

각급 학교의 야구 경기가 열리는 구의야구장에서도 석면을 미량 포함한 흙이 그라운드 일부에 깔린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잠실, 목동, 신월, 구의 야구장을 대상으로 그라운드 토양의 석면 함유 여부를 검사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5일 밝혔다.

잠실야구장의 경우 홈 베이스 부근의 흙이 0.25%의 비율로 백석면을 함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3루 베이스 부근과 1루 워닝트랙에서도 0.25% 이하의 백석면이 검출됐다.

창고에 보관돼 있는 원재료 흙은 백석면을 0.5% 함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라운드 토양은 사문석이 포함된 원재료 흙과 마사토를 1대 1 비율로 섞어 만든다.

연구원은 지난달 28일 프로야구 두산과 삼성의 경기 중 관중석을 포함한 5개 지점에서 공기 시료를 채취해 석면의 비산 가능성을 조사했지만 석면이 검출되지 않았다.

현재 서울시 초ㆍ중ㆍ고교의 추계리그전이 열리고 있는 구의야구장에서도 그라운드 일부 지점에서 석면이 검출됐다.

구의야구장에 현재 보관된 원재료 흙과 3루 베이스 부근에서는 석면이 검출되지 않았지만 2루 베이스 부근의 토양이 0.1% 미만 비율로 백석면을 함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신월야구장은 그라운드에서는 석면이 검출되지 않았지만 보관중인 원재료 흙이 0.1% 미만 비율로 백석면을 함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목동야구장은 시료를 채취한 3개 지점에서 석면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서울시는 잠실야구장의 홈플레이트와 1∼3루 주변 등 사문석이 깔린 2천275㎡의 흙 614t 전체를 교체키로 했다.

프로야구 정규리그가 끝나는 6일부터 교체에 들어가 한국시리즈 직전인 22일까지 작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교체할 토양은 KBO와 협의해 정하고 새 토양을 포설하기 전에 보건환경연구원이 석면 함유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구의야구장은 초ㆍ중ㆍ고 추계리그전이 끝나는 11월7일 이후에 마사토와 견운모로 그라운드 토양을 전면 교체키로 했다.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시흥동 1005번지(중앙하이츠) 모아주택 통합심의 통과”

최기찬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2)이 서울시가 제17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위원회에서 ‘금천구 시흥3동 1005번지 일대 모아주택’ 사업시행계획안을 통과시킨 것을 환영했다. 그간 노후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으면서도 구릉지형으로 인해 도시정비가 어려웠던 시흥동 지역이 이번 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재생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금천구 시흥3동 1005번지 일대 모아주택은 ▲7개 동 473세대(임대주택 95세대 포함) 공급 ▲2030년 준공 예정 ▲용적률 완화로 사업성 강화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이번 사업은 단순한 건축이 아닌 종합적 주거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된다. 호암산 조망을 고려한 동서 방향 통경축 확보로 열린 도시경관을 조성하고, 아치형 스카이라인으로 도시미관을 향상시키는 한편, 태양광패널(BIPV) 적용으로 친환경 입면을 특화한다. 도로도 넓어진다. 대지 내 공지 활용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공간을 조성하고, 구릉지 레벨차를 활용한 접근성 높은 보행로를 설계한다. 단지 중앙 마당을 통한 주민 활동 및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한다. 시흥대로 36길변에 근린생활시설을 설치하고, 개방형 공동이용시설(스터디 카페) 운
thumbnail -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시흥동 1005번지(중앙하이츠) 모아주택 통합심의 통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