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간 제주도와 제주도교육청 소속 공무원 575명이 음주운전, 성범죄, 금품ㆍ향응 수수 등 각종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제주도 감사위원회가 11일 발간한 감사백서를 보면 감사위가 출범한 2006년 7월 이후 지난해 말까지 검찰과 경찰 등 사법부에서 법률위반 사실이 적발돼 통보된 공무원은 제주도 소속 532명, 교육청 소속 43명 등 모두 575명이다.
이들의 범죄 내용은 음주운전이 361명(63%)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폭행 54명(9.4%), 교통사고 35명(6.1%), 성범죄 24명(4.2%), 금품ㆍ향응 수수 21명(3.7%) 등의 순이었다.
연도별로는 2006년 7명, 2007년 21명, 2008년 216명, 2009년 52명, 2010년 65명이다.
2008년에 갑자기 인원이 증가한 이유는 공무원 신상정보 전산망이 확충되면서 2005년 1월에서 2008년 3월 사이 음주운전으로 적발됐으나 공무원 신분을 숨겼던 194명의 명단이 행정안전부에서 뒤늦게 한꺼번에 통보됐기 때문이다.
제주도감사위는 조사를 거쳐 이 가운데 36명에 대해 파면ㆍ해임 등 중징계를, 188명은 경징계를, 나머지는 훈계 등의 조치를 해 솜방망이 처벌이란 지적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제주도 감사위원회가 11일 발간한 감사백서를 보면 감사위가 출범한 2006년 7월 이후 지난해 말까지 검찰과 경찰 등 사법부에서 법률위반 사실이 적발돼 통보된 공무원은 제주도 소속 532명, 교육청 소속 43명 등 모두 575명이다.
이들의 범죄 내용은 음주운전이 361명(63%)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폭행 54명(9.4%), 교통사고 35명(6.1%), 성범죄 24명(4.2%), 금품ㆍ향응 수수 21명(3.7%) 등의 순이었다.
연도별로는 2006년 7명, 2007년 21명, 2008년 216명, 2009년 52명, 2010년 65명이다.
2008년에 갑자기 인원이 증가한 이유는 공무원 신상정보 전산망이 확충되면서 2005년 1월에서 2008년 3월 사이 음주운전으로 적발됐으나 공무원 신분을 숨겼던 194명의 명단이 행정안전부에서 뒤늦게 한꺼번에 통보됐기 때문이다.
제주도감사위는 조사를 거쳐 이 가운데 36명에 대해 파면ㆍ해임 등 중징계를, 188명은 경징계를, 나머지는 훈계 등의 조치를 해 솜방망이 처벌이란 지적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