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가방 들고 세계 돌던 ‘호텔업계 제왕’ 메리어트 회장 39년 만에 경영일선 물러난다

낡은 가방 들고 세계 돌던 ‘호텔업계 제왕’ 메리어트 회장 39년 만에 경영일선 물러난다

입력 2011-12-15 00:00
수정 2011-12-15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호텔업계의 제왕’으로 군림한 빌 메리어트 주니어(79) 메리어트 인터내셔널 회장이 최고경영자(CEO) 취임 39년 만에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세계 최고급 호텔을 운영하면서도 낡은 토트백을 들고 다니던 노신사의 퇴장에 직원들은 박수를 보냈다.
이미지 확대
빌 메리어트 주니어 메리어트 인터내셔널 회장
빌 메리어트 주니어 메리어트 인터내셔널 회장


●후임은 아르네 소렌슨 최고운영책임자

메리어트 인터내셔널은 13일(현지시간) 발표한 성명을 통해 “아르네 소렌슨 최고운영책임자(COO·53)가 빌 메리어트의 CEO 업무를 3월 31일부터 인계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1996년 이 회사에 입사한 소렌슨은 메리어트 호텔의 3번째 CEO로 일하게 됐으며 메리어트 회장은 이사회 의장으로 남기로 했다.

메리어트 회장은 아버지 J 윌러드 메리어트가 세운 호텔에 취직해 1972년 CEO가 된 뒤 이 업체를 세계적 호텔 체인으로 키웠다. 그는 경영학계에서 건네는 조언 대신 배짱으로 승부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39년간 내세운 제1의 경영철학도 매우 간단하다. ‘경영자가 직원을 잘 챙기면 직원은 고객에게 최선을 다하게 되며 결국 고객은 다시 우리 호텔을 찾게 된다.’는 것. 그는 직원 및 고객과 직접 소통하기 위해 75세 때 블로그를 만들어 운영했고 해마다 국내외의 호텔 체인을 직접 돌아다녔다.

아버지 메리어트가 맥주 노점상으로 시작한 이 업체는 어느새 세계 67개국에 3000개 호텔을 세운 ‘공룡기업’이 됐다. 국내외 고용 인원은 14만 6000명이다.

●권위의식 없이 소탈… 매년 수백만弗 기부

메리어트 회장은 권위의식 없이 소탈하고 검소하기로 유명하다. 오래된 음악을 들으며 누구와도 격 없이 어울리기를 즐겼고 식당에서 치즈버거를 주문할 때 세상에서 가장 행복해 보였다. 또 가족들과 군것질을 하며 즐거워했다. 그와 그의 회사는 장애인 등을 위해 매년 수백만 달러를 기부했다.

메리어트 인터내셔널의 호텔 부문 전 책임자였던 프레드 말렉은 “빌 메리어트는 우리 호텔업계에서 대부와 같은 존재”라면서 “그는 (호텔업의) 페이스메이커로 모두가 그에게 맞추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WP는 “회사 직원들은 ‘메리어트 회장이 죽는 날에나 책상에 앉아 은퇴 선언을 할 것’이라고 반농담조로 얘기해 왔다.”며 사내의 아쉬움을 전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12-1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