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 “디스크 탈출 정도ㆍ방향 모두 동일”

세브란스 “디스크 탈출 정도ㆍ방향 모두 동일”

입력 2012-02-22 00:00
수정 2012-02-22 16: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은 22일 박원순 서울시장 아들이 병원에서 받은 MRI(자기공명영상진단) 촬영 결과를 발표했다.

윤도흠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오늘 촬영한 박주신 씨의 MRI 사진과 12월에 (자생한방병원에서) 촬영한 사진을 면밀히 판독한 결과 추간판 탈출 정도와 방향이 같았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판단의 의학적 근거로 “4, 5번 디스크의 튀어나온 정도, 하요추부의 피하지방 두께가 약 30mm로 동일했다. 또 척추와 하지를 연결하는 장요근의 모양과 척추 후관절의 각도와 퇴행정도도 같았다”고 설명했다.

이날 MRI 촬영은 박원순 서울시장의 아들인 박주신 씨의 요청에 의해 진행됐으며 디스크 관련 전문가인 신경외과 윤도흠 교수, 정형외과 이환모 교수, 신경영상의학과 이승구 교수가 판독에 참여했다.

다음은 윤 교수와의 일문일답.

--결국 박 씨의 4급 판정은 맞다고 볼 수 있는 것인가.

▲4급 판정 여부는 병무청에서 판단할 일이다.

--박 씨의 허리 상황이라면 활동 폭은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가

▲영상소견과 환자의 소견은 모두 다르다. 영상 소견이 같아도 개인마다 느끼는 통증이 다르기 때문에 뭐라고 말하기 힘들다. 박 씨의 통증은 따로 진찰하지 않았다.

--박 씨의 신체계측 결과는.

▲MRI 촬영을 위해 키와 몸무게 측정한 결과 키 176cm, 몸무게 80.1kg이었다. 피하지방 두께는 개별 편차가 있어 이 체격이면 피하지방 두께가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인지 말할 수는 없다.

연합뉴스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3일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 4층에 12일 개관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 및 안전·편의시설 전반을 점검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어르신과 디지털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술을 일상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체험·상담 프로그램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전문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강동센터 개관은 김 의원이 동남권역 디지털동행플라자 거점을 강동구에 유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성과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동남권역센터 확충 논의 초기부터 강동의 고령층 수요와 지역 여건을 근거로 강동구 유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고, 센터 설치가 확정된 후에는 관련 예산 확보 과정까지 직접 챙기며 사업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날 현장에서 김 의원은 프로그램 운영실, AI 체험존, 커뮤니티 공간 등을 직접 살펴보며 프로그램 난이도·기기 배치·이용 동선 등 운영 전반을 세심히 점검했다. 특히 ▲파크골프 ▲ AI바둑 로봇 ▲스마트 운동·게임기기 ▲AI 사진관 촬영 등 주요 체험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구민 관점에서의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