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 10명 중 4명 “주5일수업제, 심적 부담감 커”

학부모 10명 중 4명 “주5일수업제, 심적 부담감 커”

입력 2012-03-27 00:00
수정 2012-03-27 15: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많은 학부모가 주5일수업제 전면 시행에 긍정적이지만 사교육비 증가 등으로 인해 심적 부담감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교육업체 윤선생영어교실은 홈페이지를 통해 학부모 61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71.8%가 주5일수업제 시행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답했다고 27일 밝혔다.

그 이유로는 ‘자녀가 예술·레저 등 다양한 분야의 자기개발을 할 수 있어서’가 47.8%로 가장 많았으며 ‘가족과 함께 보낼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나서’ 44.9%, ‘봉사활동 등 창의적 체험활동의 기회가 늘어나서’ 29.4%, ‘여가산업 활성화로 인한 경제 성장이 기대돼서’ 14.6%, ‘수업의 효율성과 학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12.8%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부정적인 이유로는 39.5%가 ‘수업시수 현행 유지에 따른 평일 수업 부담감이 커져서’를 꼽았으며 ‘사교육비 증가로 계층 간의 교육격차가 심화될 수 있어서’ 37.2%, ‘아이를 방치할 경우 탈선·방황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서’ 34.9%, ‘학부모가 교육 및 보육에 대한 부담감을 떠안아서’ 27.3% 등의 순이었다.

이처럼 제도 시행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전체 응답자의 40.3%는 ‘주5일 수업제 시행으로 인해 심적 부담감을 안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맞벌이(57.0%)가 외벌이(29.2%)보다 2배 정도 많았다. 윤선생영어교실 측은 “맞벌이 가정의 경우 자녀와 토요일을 함께 보낼 수 있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어 사교육기관이나 방과후 프로그램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심적 부담감을 갖는 가장 큰 이유로는 36.2%가 ‘사교육비 증가에 따른 부담’을 답했으며 ‘TV·게임 등으로 자녀 시간 허비’ 28.0%, ‘토요일 내내 자녀를 돌봐야 한다는 부담감’ 17.9%, ‘맞벌이 등으로 자녀를 돌봐 줄 보호자 부재’ 10.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토요일을 어떻게 보내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가족들과 여가활동을 하겠다’가 70.0%로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로 ‘학교에서 실시하는 토요 프로그램 참여’ 31.9%, ‘학원 및 과외 활동’ 24.7%, ‘집에서 휴식’ 22.6% 등으로 집계됐다.

외벌이 가정의 경우 ‘가족들과 여가활동을 하겠다’가 90.5%로 주를 이룬 반면 맞벌이는 ‘학원 및 과외를 보내겠다’는 응답이 43.4%로 조사됐다.

주5일수업제에 대한 개선사항으로는 ‘지역 내 체육시설 및 도서관 확충 신설’ 27.7%과 ‘학교·지역교육청 주관 토요 프로그램 확대’ 27.2%를 주로 꼽았다.

이외에 ‘수업시수를 줄여 평일 수업에 대한 부담감 축소’ 20.5%, ‘맞벌이 자녀를 돌볼 수 없는 가정을 위한 위탁시설 확대’ 13.6%,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정부의 가이드라인 제정’ 10.6%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뉴시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