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식농성 49일째 민노총 남상훈 지부장 ‘위독’

단식농성 49일째 민노총 남상훈 지부장 ‘위독’

입력 2012-05-02 00:00
수정 2012-05-02 13: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주 버스 파업해결을 외치며 무기한 단식농성에 들어갔던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북고속 지회 남상훈 지부장이 위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2일 민주노총 전북본부(민노총) 등에 따르면 전주 시외버스터미널 인근에 설치한 망루 위에서 무기한 단식농성에 들어갔던 남상훈 지부장이 단식 49일만인 이날 건강이 악화 돼,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날 오전 민노총은 남상훈 지부장이 위독하다고 판단, 인도주의실천 의사협의회에 도움을 청했고 조선대 의대 송병수 교수가 전주를 방문해 남 지부장의 건강상태를 확인했다.

송 교수는 “(남상훈 지부장)구토를 하고 열이 내려가지 않고 있다”면서 “기운이 많이 쇠약해져 있고 면역기능이 떨어져 폐렴 등이 생길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밀검사를 해봐야 알겠지만 더이상 단식농성은 무리다”면서 “단식농성을 계속 진행할 경우 위급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남 지부장은 119의 도움을 받아 망루 위에서 안전하게 내려왔으며 현재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앞서 김완주 전북지사는 이날 오전 남 지부장이 있는 망루를 방문했다.

뉴시스

오금란 서울시의원 “실질적 수요 반영한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체계 개편 필요”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오금란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노원2)은 지난 10일 서울시 복지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실질적으로 돕는 보조기기 지원체계는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해 개선돼야 한다며, ‘휠체어를 탄 채로 탑승할 수 있는 장애인용 차량 제조 및 개조 지원’과 ‘휠체어 전용 백팩의 보조기기 편입’, ‘보완대체의사소통(ACC) 등을 제안했다. 1년에 2회, 새로운 보조기기를 등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필요로 하는 보조기기를 등록하기는 매우 어렵고, 반영되는 예산도 매우 부족하여 시대를 반영하는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장애유형별 요구가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상황 또한 지적했다. 오 의원은 올해 9월 노원구에서 시행한 뇌병변장애인용 차량 개조 지원 사례를 소개하며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것조차도 스스로 할 수 없는 덩치 큰 뇌병변장애인을 보호자가 직접 안아서 들어올리지 않고 휠체어에 탄 상태로 탑승하는 차량으로 개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야말로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한 보조기기의 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 의원은 “차 한 대 개조에만 약 6000만원이 소요돼 사실상 SUV 신차 구입비용과 비슷
thumbnail - 오금란 서울시의원 “실질적 수요 반영한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체계 개편 필요”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