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경험이 있는 구직자 10명 중 7명 정도가 면접관 때문에 불쾌했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불쾌했던 면접관의 태도로는 ‘자신을 무시하는 듯한 면접관의 어투’를 꼽았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올 상반기 입사면접 경험이 있는 구직자 416명을 대상으로 면접 시 불쾌했던 경험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69.2%가 ‘면접 시 면접관의 태도로 불쾌했던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가장 불쾌했던 면접관의 태도에 대해서는 무시하는 듯한 어투가 47.9%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음으로 ‘면접관이 질문한 답변 중에 말을 자르고 또 다른 질문을 할 때’(14.9%), ‘면접장에서 이력서를 처음 검토하는 듯한 면접관의 무성의한 자세’(13.9%) 등의 답변이 비교적 많았다.
이 외에도 ‘면접관의 반말 어투’(8.7%), ‘다른 지원자를 편애하는 듯한 공정하지 못한 자세’(3.8%), ‘면접장에서 담배 피우는 면접관’(2.4%) ‘면접 도중 전화 받는 태도’(2.1%) 등의 응답도 있었다.
또 면접장에서 불쾌했던 질문을 받아 본 경험에 대해서는 절반이 넘는 56.0%의 응답자가 ‘있다’고 답했다. 가장 불쾌했던 면접 질문으로는 ‘학벌 및 출신학교에 관한 질문’이 33.9%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외모 및 신체사항(신장, 체중 등)’ 21.5% ‘▲가족 관련(부모님 직업 등)’ 11.2% ▲’애인 및 결혼 유무에 관한 질문’ 9.9% ▲’개인신상(나이, 이름과 관련된 질문 등)’ 8.2% ▲’거주하는 주거형태 및 지역명’ 5.2% ▲’종교 및 개인적 취향’ 2.1% 등이었다.
잡코리아 김화수 사장은 “면접은 기업뿐만 아니라, 구직자들도 기업을 상호 평가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면접 시 면접관의 무심하고 무성의한 태도나 언행 등은 면접 후 해당 기업에 대한 이미지를 나빠지게 할 수 있다.”며 “입사지원자들이 향후 자사의 잠재적 고객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고, 면접관들의 면접교육은 물론, 면접장에서 최소한의 예의를 지킬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노컷뉴스
※위 기사는 기사콘텐츠 교류 제휴매체인 노컷뉴스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에 관한 모든 법적인 권한과 책임은 노컷뉴스에 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