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협 “’말뚝’ 일본인 만든 日정부 바꿔야”

정대협 “’말뚝’ 일본인 만든 日정부 바꿔야”

입력 2012-07-11 00:00
수정 2012-07-11 14: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11일 정오 서울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1030번째 수요집회를 열어 “위안부 소녀상에 말뚝을 설치한 일본인보다 일본 정부를 비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대협은 “일본은 총리부터 국회의원, 언론 등 총체적으로 ‘위안부는 성노예가 아니었다’ 등 망언을 쏟아내고 있다”며 “말뚝을 세운 스즈키 노부유키보다 그를 생산한 일본 정부를 바꾸지 않으면 스즈키의 입국을 금지해도 소용없다”고 말했다.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86) 할머니는 “말뚝을 세운다고 우리가 절대 기죽은 것은 아니다”며 “스즈키가 말뚝을 세워준 덕분에 위안부 문제를 잘 모르던 사람들에게 선전이 많이 됐다”며 고 꼬집었다.

이날 수요집회에는 이화여대의 ‘이화글로벌엠파워먼트(EGEP)’ 프로그램 참가차 한국에 머물고 있는 아시아 각국 여성운동가 18명도 참석했다.

인도네시아에서 온 하유 디야 파트리아(31)씨는 “집회에 오니 친할머니 생각이 난다”며 자작시를 낭독해 참석자들로부터 큰 박수를 받기도 했다.

자작시는 ‘할머니, 제가 무지해서 죄송해요. 할머니의 이야기를 소리높여 세상에 더 잘 알리지 못해 죄송해요. 제게 당신은 아름다운 분이었다는 걸 할머니가 아셨으면 좋겠어요. 할머니가 자랑스러워요’라는 내용이었다.

정대협은 이번 광복절(8월15일) 일본대사관 앞 ‘평화로’에서 정오부터 오후 11시까지 집회 등 대규모 행사를 열어 일본 정부에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할 계획이다. 이날 청계광장에서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무하는 상생굿도 벌어진다.

지난달 극우 일본인 스즈키가 일본대사관 맞은편에 세워진 평화비 옆에 ‘다케시마(竹島ㆍ일본에서 독도를 부르는 단어)는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적힌 말뚝을 세운 사실이 알려지면서 큰 논란이 일었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