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초등생 5.8% 급감…첫 300만명 이하

국내 초등생 5.8% 급감…첫 300만명 이하

입력 2012-09-11 00:00
수정 2012-09-11 1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학원생ㆍ외국인유학생 첫 감소

저출산의 여파로 초등학생수가 10년째 감소한 가운데 올해는 5.8%나 줄어 처음으로 30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올해 초등생수는 1980년의 절반 수준이다.

매년 증가세였던 대학원생과 외국인 유학생은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고, 기간제 교원 수는 8.8% 증가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교육개발원에 위탁해 올해 4월1일을 기준으로 각급 학교와 학생, 교원, 시설을 조사한 ‘2012 교육기본통계’를 11일 발표했다.

세부 통계정보는 이달 중 교과부 홈페이지(www.mest.go.kr)와 한국교육개발원 홈페이지(cesi.kedi.re.kr)에 게재된다.

◇ 초등생 1980년 절반 수준 = 초등학생수는 295만1천995명으로 지난해보다 5.8%인 18만482명이나 줄었다. 이는 1980년(565만8천2명)의 절반 수준(52.2%)에 불과하다.

초등생수는 2000년(401만9천991명) 400만명초반대로 내려앉은 후 2003년(417만5천626명)까지 3년간 일시 증가했지만 이후 10년 내리 감소하고 있다.

중학생수는 3.2%(6만1천478명), 고등학생수는 1.2%(2만3천711명) 줄어 감소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올해 초ㆍ중ㆍ고교 전체 학생수는 677만1천39명으로 작년보다 3.8%(26만5천465명) 줄었다.

학생수 감소의 영향으로 교육여건을 나타내는 지표는 나아졌다.

학급당 학생수는 작년과 비교해 초등학교 1.2명(25.5→24.3), 중학교 0.6명(33.0→32.4), 고등학교 0.6명(33.1→32.5)이 감소했고, 교원 1인당 학생수도 각각 1명(17.3→16.3), 0.6명(17.3→16.7), 0.4명(14.8→14.4)이 줄었다.

올해부터 만5세 대상 ‘누리과정’이 도입되고 유아교육비 지원이 확대되면서 유치원생수는 작년보다 8.7%(4만8천915명) 급증, 61만3천749명으로 역대 최고치였다.

유치원수도 작년 대비 1.4%(114개) 늘었고 유치원 교원은 9.2%(3천573명) 증가했다.

◇ 대학원생ㆍ외국인유학생 첫 감소 = 일반대학과 전문ㆍ교육ㆍ산업대, 대학원을 포괄한 전체 고등교육기관의 재적학생수는 모두 372만8천802명으로 작년보다 0.2%(6천904명) 소폭 감소했다. 이는 2006년 이후 6년 만의 감소다.

산업대 7개교가 일반대로 학제변경한 것의 영향으로 일반대 재적학생수(210만3천958명)는 작년보다 3만8천507명 증가했으나 전문ㆍ교육ㆍ산업대와 대학원은 학생이 모두 줄었다.

특히 대학원은 재적학생수 32만9천544명으로 작년 대비 0.1%(389명) 감소해 처음으로 증가세가 꺾였다.

고등교육기관 전체 입학자수도 6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올해 전체 입학자수는 81만7천142명으로 작년에 비해 수치가 1.9%(1만5천489명) 떨어졌다.

입학자수는 특히 전문대가 23만8천952명으로 작년보다 4.3%(1만7천41명) 줄어 감소폭이 컸다.

외국인 유학생수(8만6천878명)도 매년 증가세를 보였으나 올해 처음 감소세로 돌아서 3.0%(2천659명) 줄었다.

유학생 가운데 석ㆍ박사 과정생은 작년보다 늘었지만 전문학사ㆍ학사수가 4천90명(9.2%) 줄어 감소세로 돌아섰고, 어학연수생의 발길도 9.7%나 뜸해졌다.

대학 전임교원 수는 작년보다 3.3% 늘었고,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는 1명 감소한 30.9명으로 감소세를 이어갔다. 외국인 전임교원(5천964명)도 9.2% 증가해 비중이 증가세를 유지했다.

◇ 기간제교사 8.8%↑ = 유ㆍ초ㆍ중ㆍ고교의 정규 교원은 43만4천449명으로 작년 대비 0.8%(3천565명) 감소했으나 기간제 교원은 8.8%(3천364명)나 늘었다.

학교별로 보면 정규 교원은 유치원(3천26명, 8.0%)과 초등학교(1천338명, 0.8%), 고등학교(321명, 0.3%)에서는 증가했지만 중학교는 오히려 1.2%(1천134명) 감소했다.

반면 기간제 교원은 유치원(547명, 59.8%)과 중학교(1천480명, 11.7%), 고등학교(1천549명, 10.6%)에서 늘었고, 초등학교만이 526명(6.2%) 줄었다.

유치원과 초ㆍ중ㆍ고교의 전체 교원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보다 0.8% 포인트 늘어난 67.9%로 증가세를 지속했다.

여성교원 비중은 초등학교가 76.2%로 가장 높았고 중학교가 67.3%, 고등학교가 47.3%였다.

특성화고 졸업자가 취업을 많이 선택하면서 졸업자 대비 진학자 비율은 50.0%로 작년보다 11.0% 포인트 떨어졌고, 취업자비율은 38.4%로 12.5% 포인트 올랐다.

전체 고교 졸업자의 진학률은 71.3%로 1.2% 포인트 감소했고 취업률은 6.0% 포인트 오른 29.3%를 보여 2001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했다.

학업중단률은 초등학교 0.6%, 중학교 0.9%, 고교 1.9%로 중고교는 소폭 감소했다. 고교 학업중단자 3만7찬391명 중 ‘부적응’이 원인인 경우는 43.9%로 작년보다 조금 줄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